Page 43 - 월간 대한사랑 24년 1월호 (2호)
P. 43

2024. 01



            을 지나가면서 보는 것만이 가능하다. 안으                     인상을 통해서 신라의 스케일을 확실히 실
            로 들어갈 수는 없기에 유리창을 통해서 금                     감하게 되었다.

            강역사와 석굴암 본존불상의 모습만을 볼
            수 있었다. 비록 유리막이 있지만 본존불상                     문무왕릉과 감은사

            을 보면 자연스럽게 두 손을 합장하게 되었                       경주 감포 앞바다에 대왕암이 있다. 아들
            다. 사진에라도 이 순간의 모습을 담고 싶었                    신문왕이 아버지 문무왕의 유언에 따라 동

            으나, 사진 촬영도 금지하고 있어 안타까움                     해 가운데 큰 바위에 장사를 지낸 곳이다.
            을 표현한 일행도 있었다.                              문무왕은 죽어서도 용이 돼 나라를 지키고

                                                        싶은 마음으로 바다에 장사 지내달라는 유
            원성왕릉                                        언을 남겼다. 그에 따라 대왕암 바위틈에 유

              불국사와 석굴암을 다 보고나니 시간이                      골함을 매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호국용이
            예상을 초과했다. 원래 가고자했던 <신라를                     되어 조국과 후손들을 지키고 싶은 대왕의
            빛낸 인물관>을 아쉽지만 통과했다. 고심 끝                    염원이 느껴지면서 가슴이 뭉클해졌다.

            에 원성왕릉은 잠시라도 보고 가기로 했다.                       감은사는 바다의 용이 된 아버지 문무왕
            신라 제38대 원성왕의 무덤인데, 이곳은 무                    을 위해 신문왕이 지은 절이다. 그래서 아버

            덤 자체보다는 무덤 주변의 무인상을 보려                      지 은혜에 감사한다는 의미의 감은사(感恩寺)
            는 게 더 컸다.                                   라고 했다. 안타깝게도 몽고 침입 때 불타

              여기에는 당시의 신라 경주가 페르시아 서                    주춧돌과 탑 두 개만 남아 있다.
            역인 등과 활발히 교류하면서 문물이 번창                        하지만 이 남아있는 유적만으로도 우리에

            했던 국제도시였다는 걸 알 수 있는 무인상                     게는 큰 감동을 준다. 나의 문화유산 답사
            이 있다. 이 무인상은 깊숙한 눈과 매부리코,                   기를 쓴 유홍준 작가는 만약 감은사 답사기
            아랍식의 둥근 터번, 헐렁한 상의에 치마 같                    를 자기 마음대로 쓴다면 “아! 감은사. 감은

            은 하의, 소그드인 스타일의 주머니 등이 전                    사탑이여 아! 감은사 감은사탑이여~ 아! 감
            체적으로 서역인 풍모를 하고 있다. 당시 페                    은사”라고 감탄사만 쓸 것이라고 했을 정도

            르시아인과 서역인은 신라의 금을 구하기                       다.
            위해 실크로드를 거쳐 경주 땅을 찾았다는

            기록도 남아있는 만큼 이들이 실제로 경주                      셋째 날 경주 동학 용담정 → 수운기념관
            에 존재했을 가능성도 충분하다 하겠다. 경                       한국사에서 진정한 근대사의 출발은 동

            주국립박물관에서 로만글라스 등 신라의 국                      학이다. 최제우 대신사의 동학 창도야말로
            제교류를 알 수 있는 유물들을 보았지만 무                     근대 한국 역사에서 일대 획기적 전환점이


                                                                                              43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