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9 - 국제학술문화제-천부경/국제 분과
P. 239

崔致遠本 天符經과 朴堤上本 天符經의 解釋에 관한 比較 硏究  김유희



                     5. 天二三(             ), 地二三(              ), 人二三(             )




                   위 문단의 구성은 앞의 ‘3. 天一一(                    ), 地一二(           ), 人一三(           )’과 비교

                 하면 이해하기 쉽다. 그럼 첫 문장 「                     (天二三)」을 보자.

                   하늘 「    (天)」은 생략하고, 「◓(二)」는 ‘2. 析三極(                    )’의 「◓(極)」과 같다. 따라서 「◓
                 (二)」는 숫자 2(二)가 아니다. 그러면 무엇인가?

                   이것은 ‘1.                 (一始無始一)’의 「(一)」이 太始後(BigBang後)에 두 번째로 進化·發

                 展하고 있는 太極의 모습이다. 즉 「◓(二)」는 하늘에 있어서 두 번째로 나타난 하늘 「◓(二)」이다.
                 즉 ‘보이는(Visual) 하늘()’이다.       60)

                   다음 「 (三)」은 숫자 3(三)이 아니고, 太始前(BigBang前)의 「(一)」이 完成된 모습이다. 그러나
                 이것은 보이지 않는(Invisual) 하늘(), 땅(), 사람()의 모습이다                61) .

                   정리하면, “하늘 「        (天)」은 太始前(BigBang前)의 「(一)」에서 創造後(BigBang後) 두번째 생
                 성된 우주(Cosmos)인 ‘現象界의 하늘(有形之天)’이 「◓(二)」이고, 또 「◓(二)」가 더욱 進化·發展된

                 보이지 않는 ‘神明界의 하늘(無形之天)’이 「 (三)」이다.”

                   두 번째 문장, 「               (地二三)」을 정리한다. 땅 「          (地)」은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

                 고, 바로 정리하면, “땅 「         (地)」는 太始前(BigBang前)의 「(一)」에서 創造된 後, 두 번째 생성된

                 우주(Cosmos)의 땅 「◓(二)」이고, 또 「◓(二)」가 더욱 進化·發展된 보이지 않는 神明界의 땅 「

                 (三)」이다.”
                   세 번째 문장, 「             (人二三)」을 정리하면, “사람(           (人))도 太始前(BigBang前)의 「(一)」

                 에서 創造된 後, 두 번째 생성된 우주(Cosmos)의 사람 「◓(二)」이고, 또 「◓(二)」가 더욱 進化·發展
                 된 보이지 않는 靈魂을 가진, 즉 弘益 마음(心)을 소유한 사람 「 (三)」이다                       62) .”



                     6. 大三合六(                ), 生七八九(                  )




                   첫 문장의 「                (大三合六)」에서 「        (大)」는 팔다리를 벌리고 있는 사람으로 크다는

                 의미의 象形글자이다         63) . 그리고 「 (三)」은 앞에서 설명하였고, 다음 「             (合)」의 「 (亼)」은 陽(+)
                 과 陰(-)의 接合이오, 男(+)과 女(-)의 만남(接)이다. 「             (合)」의 「(口)」는 「박제상본 天符經」에서

                 모두 口의 옛 쓰임으로, 이 「(口)」는 웃는 입모양이며, 「 (始)」字의 「(口)」도 그 쓰임이 같다                         64) .

                 60) 有形之天의 하늘을 말한다.(『人366事 參佺戒ㅓ』제1강령(誠) 제1체(敬神) 참조)
                 61) 굳이 표현하자면, 神明界의 하늘이다. 아주 먼 太始前(BigBang前)에는 神明界도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2) 人二三의 문장은 뒤에서 설명하는 本心本의 弘益人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神明을 가진 사람이다.
                 63) 『說文解字』에서는‘하늘은 크고(天大), 땅도 크고(地大), 사람 역시 크다(人亦大)’는 뜻으로 쓰인 상형이다(象人形).



                                                                                                    239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