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6 - 국제학술문화제-정신문화 분과
P. 236

정신문화 분과


                 나가 되게 된다. 무교가 이러한 역사를 밟아 왔다.

                   한국 선도의 출발이라고 볼 수 있는 마고 선인의 이야기에도 인격신은 아니지만 8려의 음이 마
                 고성 사람들과 함께하였다. 마고성 사람들은 귀에 烏金이 있어 천음인 8려의 소리를 들었기 때문

                 [耳有烏金具聞天音]에        63)  神仙, 仙人의 모습으로 살 수 있었다.          64)  하늘의 소리를 들었다는 것은 늘
                 접신상태에 있었다는 말과 같다. 또 소리를 조절하는 것이 마고성 사람들의 관건이었는데 이는 늘

                 신과 함께 살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무교와 선도가 한 몸이라는 사실은 선도를 이룬 환웅천왕이 태백산에서 올린 굿 과정에서 드러

                 난다. 환웅천왕은 풍백과 우사, 운사를 거느렸고 풍백은 거울에 천부경을 새겨서 앞으로 나갔고
                 우사는 신을 맞아 북을 두드리며 둥그렇게 춤을 추었고 우사는 백검을 차고 있었다.                            65)  여기서 이른

                 바 천부인 3개가 등장한다. 거울과 북 그리고 칼이다. 거울과 칼은 현재도 무당이 굿을 할 때 굿
                 마당에서 설치해놓고 있고 칼은 직접 굿 춤을 출 때 쓰기도 한다. 거울은 明斗로 불리며 북두칠성과

                 해와 달이 통상 새겨져 있다. 북은 방울로 대체되어 있다. 우리나라 전국 곳곳에서 소위 청동기 유
                 물로 무덤에서 통째로 나오는 것이 청동 거울과 방울 그리고 검이다.                       66)  이는 무당이 쓰던 巫具라는

                 것이 통설이다. 환웅천왕의 굿 전통을 현재 무당이 잇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늘날 접신하여 신을 부리고 굿을 하고 점이나 보는 것을 무교의 모든 것으로 인식하는 시각이

                 상당하다. 이 때문에 선도와 무교를 별개의 줄기로 보고 선도가 외래 사조의 범람으로 탄압을 받아
                 무교로 전락하였다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오늘날 보이는 무교의 모습은 의례로서의 무교이고 본

                 질은 신을 받아 선도에서 추구하는 심신의 완성에 이르는 것이다. 오늘날 무당들이 신령을 맑게
                 하고자 위하여 전국의 명산대천을 찾아다니며 기도를 하는 모습에서 심신완성의 노력을 엿볼 수

                 있다.
                   이처럼 선도와 무교는 신을 공통으로 추구하기 때문에 선도는 무교의 다른 말이라고 해도 무리

                 가 없다.
                   통상 고대에는 창업주와 창업한 나라를 동일시하였다. 『일연의 삼성기』에서 신시를 한웅천왕이

                 라고 하는 것이 한 사례다. 이능화는 환웅천왕을 신시로 바꿔 표현하여 신시가 무당이었다는 것을
                 아래와 같이 주장하였다.



                    “신시(환웅천왕)라는 것은 고대의 신권군주(神權君主)이니 즉 무당이다. 고대(古代)에 신에게

                    무제(巫祭)를 지내면 사람들이 많이 모였다. 그래서 이를 신시(神市)라 하였으니 지금의 도당굿



                 63) 동학을 창건한 수운 최제우도 무극대도를 한알님의 소리[天音]를 처음 듣고 나서 얻을 수 있었다(『동경대전』 「포덕
                 문」, 「논학문」, 『용담유사』, 「권학가」, 「안심가」 ).
                 64) 박제상 지음, 김은수 번역·주해, 『부도지』, 한문화, 2003, 31~32쪽.
                 65) “世傳桓雄天王 巡駐於此 佃獵以祭 風伯 天符刻鏡而進 雨師 迎鼓環舞 雲師 佰劍陛衛 盖天帝就山之儀仗 若是之盛嚴也
                 (『태백일사』 「삼한관경본기」)”
                 66) 최일범, 「한국고대의 선도 전통」, 『선도의 맥을 찾아서』, 지혜의 나무, 2004, 97쪽.



                 236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