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8 - 국제학술문화제-동북공정 분과
P. 48
동북공정 분과
[표 2 : 말갈 관계사 연구 과제] 53)
말갈과 여러 민족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사관련 관계사 동북아시아관련 관계사 말갈의 실체, 위치, 종족 계통 등
① 고구려와 관계(고구려의 구성 ① 동북아시아에서 말갈의 등장시 ① 고조선이 붕괴된 이후에 여러 나
원으로서의 말갈) 기와 위치 그리고 관계사 라들이 생겨나는데 그 중에서 고
② 백제의 고이왕계와 말갈의 관계 ② 거란과의 관계 구려, 백제, 신라와 초기부터 관
③ 신라와 관계(후기신라의 중앙 ③ 여진과의 관계 계사를 형성한 말갈과 그 말갈인
군사조직인 九誓幢 중 말갈국 ④ 중국, 북한, 한국, 일본 등 동북아 의 실체
민들로만 구성된 黑衿誓幢의 시아에서의 말갈의 인식 ②『삼국사기』의 말갈과 중국사서
존재로 바라본 신라의 세계관 ⑤ 숙신과의 관계 의 말갈과의 관계
을 중심으로) ⑥ 읍루와의 관계 ③ 말갈의 위치
④ 낙랑과 말갈의 관계 ⑦ 물길과의 관계 ④ 말갈의 민족적 특성
⑤ 발해말갈과 흑수말갈 간의 관계 ⑧ 몽골과의 관계 ⑤ 말갈의 종족계통
⑥ 고려와 말갈(여진)의 관계 ⑨ 일본과의 관계
⑦ 말갈이 고구려와는 우호적 관계
를 유지하고 백제 및 신라와는
적대적 관계를 유지하는 이유
⑧고구려 유민 혹은 발해 유민과의
관계(고구려와 발해 멸망 후 말
갈인들의 신라 및 고려로 귀속
하는 이유)
말갈과 여러 민족 간의 관계 정립
① 말갈과 여러 민족 간의 관계 정립이 한국고대사 인식체계에 미치는 영향
② 말갈 인식을 통한 동북아시아의 역사 흐름에 대한 이해와 역사 귀속 문제의 해결
위의 [표2]는 말갈 관계사를 연구할 때 시론(試論)에서 제시하였던 연구 과제들이다. 연구 과제
의 대부분은 관계사 연구를 통해 정리하였고, 달라진 점이 있다면 숙신을 동북아시아관련 관계사
영역으로 넣었다가 연구를 하면서 한국사관련 관계사로 옮겨 연구하였다. 고대 숙신은 단군조선
이 본격적으로 중국 한족에게 알려지기 전에 중국 한족들에게 알려진 존재이다. 처음에는 단군조
선과는 종족 구성이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이나 중국 한족들이 압박에 못이겨 동쪽으로 이동하면
서 현지 퉁구스계와 융합이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중국 한족의 압박을 물리적으로 이겨
내려면 국가체제를 갖추고 있어야 했을 것이다. 그래서 이후에 단군조선이 숙신에 대체되었을 것
으로 생각된다.
위 연구 과제 수행 결과, 말갈과 동북아시아 북방민족 간의 관계사를 통해 혈연적, 문화적, 언어
53) 민성욱, 「말갈과 여러 민족 간의 관계에 대한 시론적 연구」, 『선도문화』 제24권,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8.2.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