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 - 대한사랑 14호(202502)
P. 24
화·불교·설화·민속 등의 안목(眼目)으로 라, 어디나 죽음, 언제 사라질지 모를
고전문학에 치우쳐 알리거나 소개하 고려였다. 저자 일연이 살아온 시대사
는 경향 때문에, 특정 소재와 일부 이 정과 역할과 정신세계를 통해보면, 역
야기만 파편적으로 읽히기도 하고, 장 사상 가장 처절하고도 암울한 시기에
님 코끼리 만지기와 같은 책이 널리 『삼국유사』는 탄생한 것이다.
퍼지게 되었다.
2) 『삼국유사』의 저술 의도가 더 소
중하다.
‣고(古)문헌의 한문 기록은 개별 글자 일연[견명(見明), 보각국사, 1206~1289 (84
의 원천적 해석에서부터 비롯되어야 세)]스님이 군위(당시 의흥)의 인각사(麟角
한다. 寺)로 왔었던 해는 1283년(79세)이다.
‣고문헌을 해석할 때는, 먼저 고문헌 온 백성의 정신적 지도자 국사(國師)[국
이 인용된 기술이 어느 시대에 어느 존(國尊)]이신, 여든 살 넘은 노승(老僧)
정황에서 사용되어진 것인가에 대한 이, 한평생 모아 둔 자료들로써, 깊숙
판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 산골에서, 가장 은밀하게, 그가 겪
은 통렬한 아픔을 후손들이 다시는 겪
‣고문서 한자어의 원래 표현을 오늘
지 않도록 당부를 담고자 한 것이다.
날 우리가 ‘상용하는 뜻’으로 무심코
잘못 대입하는 경우가 상당하다.
• 위난에 처해 있는 고려를 불국토로
만들기 위한 염원으로,
• 후대에게 자주적이며 장엄(莊嚴)한
문화를 전해 주고자,
『삼국유사』의 본질은 그 시대 배경과
• 그가 겪었던 통렬(痛烈)한 아픔을
일연의 정신세계에 담겨 있다
다시는 겪지 않도록 하기 위해,
1) 『삼국유사』 탄생의 시대적 배경을
• 만백성들에게 꿈과 희망을 안겨주기
먼저 알아야 한다 위한 고심을 하면서,
스님이 살았던 이 기간은 고려왕 • 겨레가 한 뿌리임을 내세우며 자존감
조로서는 격동의 시기였다. 무신정권 으로 펴낸
(1170~1270), 대몽항쟁기(1231~1273), 원 • 거룩한 ‘민족의 역사 교훈서’이다.
(元)간섭기(1259~1356)) 몽골 침탈에 이
은 원(元)제국의 지배, 온통 짓밟힌 나 일연은 불교국가 고려의 ‘국존(國尊)’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