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 대한사랑 14호(202502)
P. 19

2025. 2



                     2) ‘유사(遺事)’를 ‘『삼국사기』에 빠진               즉 나라의 스승[국사(國師)]으로서 80
                     것을 보완한 것’으로 곡해(曲解)하여                 여 성상(星霜)의 한평생을 정리하면

                     해제(解題)한 서술이 대부분이다.                   서, 선대 어른들이 후손들에게 ‘아무
                       유(遺)자는 <보조동사>+<본동사>로               거나’ 물려주지는 않듯이... 우리 강역

                     조합된 언어구조에서는 ‘보조 의미’                  (疆域)에서 ‘존속하다 사라진’ ‘역사·문
                     이다. ‘보조의미’로 풀이되는 말로서                 화적 동질성을 이어 온’ 여러 겨레붙이

                     ‘유실(遺失);[<보조>남겨 두고] <본>잊다, 유         들의 삶 속에서 ‘후손들에게 물려줘야
                     기(遺棄);[<보조>남겨 두고] <본>버리다, 유루         할’ ‘가치 있는 사실들’을 이야기식으
                     (遺漏);[<보조>전승, 보관, 두어지다가] <본>흘리       로 쓴 ‘사찬(私撰)의 역사·전통·사상·

                     (흘러내리)다, 유여(遺與);[<보조>남겨] <본>주        교훈서’와 같은 것이다.
                     다’... 등이 있다.

                       『삼국유사』의 이 유(遺) 자를 해제하
                                                             ‣“『삼국유사』는 『삼국사기』에 빠진
                     면서, 위의 <본 의미 ; 잃다·버리다·흘
                                                             것을 보충한 것”으로 풀이한 까닭
                     리다>의 풀이’를 적용하여, 그런 취지
                                                             은, 유(遺)의 <본뜻; 남기다·전하다,잇
                     에서 ‘『삼국사기』에 빠진 것을 보완한
                                                             다...>은 버리고, 유(遺)자가 <보조 뜻>
                     것’으로 곡해한 것이다.
                                                             으로 써진 경우에 해당하는 단어의 <본
                       그러나 『삼국유사』에서의 유(遺)자
                                                             뜻; 잃다·버리다,흘리다...>을 여기에다
                     는 <본동사> 뒤에 <명사>를 접속한 언
                                                             적용하여 생긴 곡해(曲解)이다.
                     어구조를 지닌 경우의 단어이다. 즉
                                                             ‣『삼국유사』는 『삼국사기』에서 빠트
                     유(遺)의 본래 뜻인 ‘남기다·두다·내리
                                                             리거나 싣지 않은 것을 보충하기 위한
                     다·잇다·후세에 전하다’로 새겨야 하
                                                             목적의 책이 아니다.
                     는 용어인 것이다. 예로서 유언(遺言)=
                     남기는·전하는·잇는 말씀(명사), 유훈                   ‣유(遺)자 뒤에 명사(名詞)가 붙은 용어

                     (遺訓)=가르침, 유업(遺業)=업적이나 사                 에는 분명히 본래 뜻을 반영하고 있음

                     업, 유산(遺産)=소중한 자산, 유물(遺                  을 유념하면, ‘유사(遺事)란 책 이름의
                     物)= 전승된 물건, 유적(遺蹟)=남겨진 자                진정한 의미’를 알 수 있다.
                     취, 유습(遺習)=전해 내려오는 풍습...                 ‣『삼국유사』는 『삼국사기』와 비견할

                     에서와 같이, ‘간직·전승할 가치 있는                   역사서도 아니요, 신화집·야사·설화·
                     것을 남긴 사실[사건]’으로 새겨야 한                   민담·불교기록도 아니다.

                     다.


                                                                                              19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