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2 - 월간 대한사랑 6월호
P. 62

2. 거란의 2차 침공 시 전투 경로


                  1010년 12월, 거란의 성종이 고려의 강조가 목종을 시해한 것을 구실로 삼아
                보병과 기병 40만 명을 이끌고 고려에 대한 2차 침공을 감행했다. 아래의 도표

                는 2차 침공에 대응한 고려 군사의 상황을 설명하는 자료이다.



                              <도표2> 거란의 2차 침공 시에 대처한 고려 군사의 전투 경로

                       출 처, 시기                번  역  문                    원  문


                                    겨울 10월 병오 초하루
                                    참지정사(叅知政事) 강조(康兆)를
                     『高麗史』世家                                     冬十月 丙午朔
                                    행영도통사(行營都統使)로,               以叅知政事康兆
                        卷 第4,
                                    (중략) 형부상서(刑部尙書)              爲行營都統使, (중략)
                       顯宗 元年
                                    최사위(崔士威)를 통군사(統軍使)로          刑部尙書崔士威爲統軍使,
                                    임명하여, 병사 30만 명을              率兵三十萬, 軍于通州,
                                                                 以備契丹.
                                    통솔하여 통주(通州)에 진을 치고
                                    거란(契丹)에 대비하였다.



                                    최사위가 여러 장수들을 거느리고            崔士威, (중략) 爲統軍使,
                   『高麗史』卷九十四 列      군사를 나누어 귀주(龜州) 북쪽의 육         與康兆等, 禦契丹.
                                                                 士威率諸將,
                   傳 卷第七 諸臣 崔士      돈도(恧頓道)·탕정도(湯井道)·서성도
                                                                 分軍出龜州北恧頓·湯井·曙
                          威         (曙星道) 세 방면으로 진군하였는데,
                                                                 星三道,
                                    거란과 싸우다가 패배하였다.              與契丹戰敗績.





                  <도표2>에 따르면, 강조(康兆)는 30만 고려군을 이끌고 해안 통로인 통주(通州,
                선천군)에 주둔했다. 거란의 성종은 40만 군사를 이끌고 압록강을 건너 흥화진을
                점령했으며, 그중 20만은 통주로 진출시켰다.

                  성종은 나머지 20만 군을 지휘하여 동산(銅山: 철산) 아래 주둔했고, 이에 대응하
                여 강조는 동주[통주]를 지키며 물러나 싸웠다. 하지만, 전쟁 경로에 대한 분석에

                서 모순이 발견된다.
                  해안 통로인 통주에서 거란군과 싸우던 최사위(崔士威)가 군사를 동원해 내륙
                통로인 귀주(龜州) 북쪽의 육돈도(恧頓道), 탕정도(湯井道), 서성도(曙星道) 세 방면으로





              60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