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2 - 월간 대한사랑 6월호
P. 32

于山川  肆覲東后 協時月 正日 同律度量衡                   어 문맥이 물 흐르듯 여타 군더더기 언어

               修五禮 五玉 三帛 二生 一死 贄 如五器 卒                  가 붙질 않는다. 때문에 착간을 바로 잡아
               乃復” 기록에서 ‘五玉 三帛 二生 一死 贄’                 해석한 이후에야 중원중심적인 화이사관

               이 착간(錯簡)으로 구절이 잘못 배치되었다                  의 틀을 넘어서 고대 근례(覲禮)예식의 원형
               고 지적하였다. 즉 폐백(五玉 三帛 二生 一死 贄)             형태를 알 수 있게 된다.

               을 먼저 올리는 것이 고대의 예이기에 앞
                                                         『서경』의 순임금과 동후의 만남을 정리
               으로 배치해야 한다고 하였다.
                                                        하면 이렇다. 순이 동후께 근례를 올릴 때
                 고대 착간된 문장을 바로 잡아 근례로
                                                        순은 다섯 가지 규(五玉)와 세 가지 비단(三
               서 이 구절을 번역하면 아래와 같다.
                                                        帛)을 들고, 순이 대동한 경(卿)은 새끼 양

                                                        (羊)을, 대부(大夫)는 기러기(雁)를 그리고 사
                                이해 이월에는 (순이)            (士)는 꿩(雉)을 폐백으로 바치는 예를 올린
                歲二月  東巡守        동쪽으로 순행하시어
                至于岱宗  柴         태산에 이르러 제사지내고           것으로 볼 수 있다. 폐백을 올리는 예의
                望秩于山川           차례로 산천을 제사지내고           행한 후의 기록은 당시의 중원과 동방문
                肆覲東后            마침내(肆) 동후를
                                뵈었다(覲).                 화의 문화중심이 어디인지를 밝힌 기록이

                                다섯 가지 옥과                다.
                                세 가지 비단,
                     五玉 三帛                               「요전(堯典)」에는 요임금이 366일을 1년
                4               두 가지 산 짐승, 한 가지
                    二生 一死 贄
                                죽은 짐승을 폐백으로             으로 윤년(閏年)을 활용하여 농사짓는 책력
                                올려 드렸다.
                                                        을 시행하고 있었는데, 이런 역법 시스템
                                시(時), 월(月), 일(日)을
                1   協時月 正日
                                (동후 기준으로) 조율하고          을 가진 당(唐) 요(堯)의 순(舜)이 동후(東后)를
                                률 과   도 량 형 을           만나 ‘협시월 정일(協時月 正日)’을 했다는 것
                2   同律度量衡
                                통일하셨다.
                                                        은 요의 역법이 동후의 책력 시스템을 기
                      修五禮       오기(五器)로 다섯 가지
                3
                      如五器       예(五禮)를 행하시고(修)
                                                        준으로 조정하였음을 기록한 것이다. 또
                                근례(覲禮) 의식(儀式)를          한 법률, 악률과 도량형도 동후를 기준으
                5     卒乃復       다 마치고(卒)
                                돌아오셨다(乃復)               로 통일되었고, 오례는 길례(吉禮), 흉례(凶
                                                        禮), 군례(軍禮), 빈례(賓禮), 가례(嘉禮)로 고대
                                                        봉건제국 운영의 기틀이 되는 의례인 이러

                 착간을 바로 잡은 문맥에서의 근례(覲禮)                 한 오례도 동후로부터 전수받아 행한(修)
               를 통한 동후와 순의 만남은 그 해석에 있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그럼 요임금과 순임금의 중원 문명의




              30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