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 - 월간 대한사랑 6월호
P. 29
2024. 06
府條)>와 『응제시주(應制詩註)』, 『제왕운기(帝 도 기록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춘추필법(春
王韻紀)』, 『동국통감(東國通鑑)』 등 많은 기록 秋筆法)으로 해석된 번역본만을 볼 수밖에
을 통해 고조선의 건국과 존재시기가 동 없는 것이다.
시대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
수천 년간 난무했던 “미필적 고의 번역”
의 많은 문헌이 당요 시기 25년에 단군조
선이 건국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순임금과 동후의 만남을 어떻게 해석하
홍산문화(紅山文化) 발굴, BCE 2400년경의 고 전할 것인가를 가장 고민한 사가는 사
하가점하층문화(夏家店下層文化) 연구 성과, 마천으로 보인다. 삼황오제의 중원 역사
위영자문화(魏營子文化) 연구 등을 통해 고 틀을 잡은 그가 순임금이 상위의 인물 ‘동
조선의 실존은 고고학적으로 증명되고 있 후’를 만났다는 것을 후세에 어떻게 전할
다. 가를 고민한 것 같다. 사마천 『사기』「오
하지만 중원의 고대 초기 역사 문헌에 제본기」에는 ‘수견동방군장(遂見東方君長)’
서 동방 고조선의 실체를 명확히 찾을 수 이라고 기록하여 ‘사(肆)’의 의미를 ‘수(遂)’
있는 기록은 많지 않다. 특히 통치자 단군 로, 천자와 제후 간의 의례 문제가 도출되
에 대한 사실적 기록은 거의 전무하다고 는 ‘근(覲)’대신 ‘견(見)’으로 용어를 대체하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나마 비교적 초기 여 알현(謁見)인지 단순한 견(見)인지 역사
기록인 『산해경(山海經)』과 『관자(管子)』, 사 적 사실을 모호하게 만들었다. 또한 후(后)
마천의 『사기(史記)』에서 고조선에 대한 언 의 사용 의미가 『서경』에서 「순전(舜典)」 이
급을 찾아볼 수 있으나, 춘추필법(春秋筆法) 후로 천자와 동격개념으로 사용되었기에
의 사관으로 기록된 문헌 속에서 명확한 후(后)대신 군장(君長)이란 용어로 대체하
단군과 조선에 대한 기록을 기대하기는 여 동후가 왕인지 제후인지 구분도 애매
어렵다. 『서경』도 중원 초기 제국들 역사 하게 만들었으며, 후세의 주석가들은 중
기록이라는 입장에서 주변국에 대한 기록 화 중심적 사관으로 근(覲)의 의미를 무시
을 제후, 혹은 이적만융(夷狄蠻戎)이라는 프 하고 제후로 일관하는가 하면 한 발 더 나
레임 속에서 기술되거나 해석될 수밖에 없 가 ‘동쪽의 제후들을 불렀다’는 등의 있지
었다. 도 않은 내용을 첨가하여 원래의 뜻을 희
그렇기에 오늘날에도 우리는 『서경』의 석시켰다. 그리고 순이 동순수(東巡守)를 하
“肆覲東后協時月 正日 同律度量衡 修五禮 면서 사근동후(肆覲東后)한 것처럼 서, 남,
五玉三帛二生一死贄 如五器 卒乃復” 기록 북에서도 의례로써 제후들을 만났다고 번
역하였지만, 원문은 그러한 내용이 없고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