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 - 월간 대한사랑 6월호
P. 30

오직 동방으로 순수(巡守)할 때에 순은 동                     누천년 간 의도적으로 오역되어 온 『서

               후를 근(覲)한 것이며 다른 서남북(西南北)의                경』의 이 구절은 중원의 왕인 순임금이 동
               순수(巡守)는 산천에 제사 올리는 것이 그                  쪽 제후(들)을 만나서 제후들에게 일일이

               목적이었다.                                   책력과 도량형, 예법을 가르치는 모습으
                 그렇기에 이 역사적 구절은 의도적으로                   로 번역되어 이상한 왕(천자)의 모습을 만

               오역할 수밖에 없었는데, 그동안의 이 구                   들어 내었다. 중원의 왕인 순임금이 주기
               절에 대한 번역된 사례를 살펴보면 아래                    적으로 동서남북으로 다니면서 매번 이렇
               와 같다.                                    게 했다는 이상한 중원천자 상인 것이다.



                                                        드디어 드러나는 동후의 실체
                歲二月 東巡守 至于岱宗 柴 望秩于山川 肆覲東后
                                                          하지만 누천년의 역사 속 수 많은 사가
                 1         協時月 正日           책력 조율
                                                        들에 의해 자행된 오역 속에도 역사적 사
                 2         同律度量衡            도량형 통일      실은 영원히 숨길 수가 없었다. 역사적 사
                                                        실을 밝힐 수 있는 단서는 바로 고대 의례
                 3           修五禮              오례
                                                        (儀禮)였다. 중원의 역사 속에 집대성된 고
                 4     五玉 三帛 二生 一死 贄          폐백
                                                        대 봉건제도의 의례는 『주례(周禮)』, 『의례
                 5        如五器 卒乃復            예식 후       (儀禮)』, 『예기(禮記)』에 기록되어 있다. 『서

                                                        경』의 기록은 당요(唐堯)부터 중원의 초기
                                                        역사를 구성하는 제왕(帝王)의 기록으로 주

                이해 이월에는 (순임금이) 동쪽으로 순                   변국에 대한 기록이 서술되어 있다. 중원
                행하시어 태산에 이르러 제사 지내고                     의 초기 역사는 봉건제도의 틀을 유지하

                차례로 산천에 제사 지내고, 동쪽 제                    고 있었기에 빈례(賓禮)는 제후가 임금을
                후(들)를 만나 계절·월·일의 역(曆)을 바                뵙는 예인 근례(覲禮)의 형태로써 『서경』에

                로 잡으셨고, 악률과 도량형을 통일하                    는 이 기록이 남겨져 있음을 주목해야 한
                시고, 오례, 다섯 가지 홀, 세 가지 비                 다. 바로 ‘사근동후(肆覲東后)’ 속의 용어인
                단, 두 가지 산짐승, 한 가지 죽은 짐                  ‘근(覲)’이다. 도대체 이 ‘근(覲)’은 고대 중

                승, 그리고 일반인의 포물의 제도를                     원 봉건제도의 의례가 집대성되어 있는
                정리하셨다. 다섯 가지 홀만을 끝난                     『주례(周禮)』, 『의례(儀禮)』, 『예기(禮記)』에는

                뒤 되돌려 주셨다.                              어떻게 기록해 놓았을까?





              28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