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8 - 월간 대한사랑 3월
P. 78
때 모습입니다. 그럴 때 매 눈을 보면 두리번거리며 아주 당황스러운 기색이 역력
합니다.
매와 유대감을 키우는 과정에서 나온 말도 있습니다. 주인은 매를 자주 어루만
져 주는데 이렇게 만져주는 것을 ‘매만지다’고 하고, 건강한 매는 깃털에 기름이
올라 빛깔이 선명하고 부드러워 촉감을 ‘매끄럽다’고 표현합니다. 우리가 흔히 고
집쟁이를 지칭하는 옹고집이란 말은 길들여지지 않은 매처럼 고집이 세다는 표현
이며, ‘옹골지다’는 송골매를 뜻하는 ‘응골’에 기원을 둔 어휘로 야무지게 사냥하
는 것에 대한 비유입니다. 그리고 눈보라에서 사용되는 접미사 ‘보라’는 보라매가
긴장을 풀고 앞가슴 털을 활짝 터는 모습과 사냥에서 먹이를 낚아챌 때 흩날리는
앞가슴 털에 대한 형상화에서 유래됐습니다. 정리하고 보니 우리 어휘 속에 매와
매사냥에서 유래한 말이 많아 놀랍습니다. 유네스코에 공동 등재국으로 왜 우리
나라가 포함되어야 하는지 우리 말 어휘들을 봐도 알 것 같습니다.
조선시대 매 그림(형파 필 응도) 성동구 응봉산 입구의 안내문
꼬리부분의 흰 깃털에 붉은 무늬가 있는 ‘시치미’가 보인 조선시대 매를 사육하고 매사냥에 관련된 일을 수행했
다. 국립중앙박물관 던 “응방”에서 응봉산이란 이름이 유래됨을 설명하고
있다. 은평구 응암동이란 지명도 매사냥과 관련된 매바
위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사진=오동석 제공)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