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9 - 국제학술문화제-천부경/국제 분과
P. 139

“천부경과 정역사상”  양재학



                 할 수 있다.

                   하도는 1-6, 2-7, 3-8, 4-9, 5-10이 각각 음양의 균형과 조화를 이루는 상생의 구조를, 낙서는
                 1-9, 2-8, 3-7, 4-6이 각각 음은 음끼리 짝을 이루고, 양 또한 양끼리 짝을 이루는 음양의 불균형

                 을 형성하는 상극의 구조를 띤다. 따라서 낙서는 만물이 태어나고 자라나 진화를 거듭하는 모습을
                 그려내고 있는 것이다.

                   이 세상에 숫자가 없는 곳은 없다. 천지의 수는 1부터 10까지의 홀수와 짝수로 이루어져 있다.
                 홀수는 1, 3, 5, 7, 9로 다섯 개이며 짝수 역시 2, 4, 6, 8, 10으로 다섯이다. 그리고 1, 2, 3, 4, 5는

                 생수生數이며, 6, 7, 8, 9, 10은 성수成數이다. 생수를 다시 음양으로 구분하면 1, 3, 5는 양陽으로
                 서 하늘을 상징하는 ‘삼천參天’이며 2, 4는 음陰으로서 땅을 상징하는 ‘양지兩地’이다. 『주역』은

                 생수와 홀수 위주의 우주론을 전개시키고 있다면, 『정역』은 성수와 짝수 위주의 우주론을 지향한
                 다고 할 수 있다.

                   정역사상에 따르면, 생수가 선천이고 성수는 후천이다. 즉 전자가 ‘삼천양지參天兩地’라면, 후
                 자는 ‘삼지양천參地兩天’의 구조를 이룬다. 성수 6, 7, 8, 9, 10에서 짝수는 셋(6, 8, 10)이고 홀수

                 (7, 9)는 둘이기 때문이다. 시종일관 선후천의 전환을 겨냥한 정역사상은 본체와 작용[體用]의 근
                 본적 전환을 통해 선천 삼천양지의 시스템이 후천 삼지양천의 시스템으로 탈바꿈한다는 것을 논

                 리적으로 풀어헤쳤다.         12)
                   그러면 『천부경』은 왜 반드시 81수로 구성되어야 하는가? 지금 전해지는 81자 문헌 이외에도 여

                 러 판본이 있었다는 주장이 있다. 원본을 제외한 다른 판본들은 필사 과정에서 오탈자 및 오류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최치원崔致遠(857-?)이 옛 글자로 된 『천부경』을 한자로 옮

                 기는 과정에서 오늘날의 81자가 되었다는 것이 하나의 통설로 자리잡고 있다. 81자는 학문의 엄밀
                 성을 보증하는 수학 체계를 갖는다는 점에서 『천부경』의 권위를 뒷받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고대의 천문학과 수학에 관한 246개의 문제들을 수록한 『주비산경周髀算經』에는 주공周公과
                 상고商高의 대화로 시작한다. 이곳에는 ‘9×9=81’의 공식 이외에도 변의 길이가 각각 3:4:5인 직

                 각삼각형의 성립에 대한 이른바 피타고라스 정리를 얘기하고 있다. 특별히 “정사각형은 땅에 속하
                 고 원은 하늘에 속하는데, 하늘은 둥글고 땅은 반듯하기 때문이다.”                       13) 라는 수학의 근거를 천원지

                 방天圓地方에서 연역하고 있다.



                    “옛날에 주공이 상고에게 물었다. ‘대부가 수에 능통했다는 말을 내가 들었소. 아주 예전에 포희
                    씨가 하늘 둘레의 역도를 세운 것에 대해 묻겠소. 하늘은 계단을 밟아 오를 수가 없고, 땅은 자로

                    잴 수가 없소. 청컨대 수들이 어디에서 나왔는지 알고 싶소.’ 상고가 말하기를 ‘수의 법칙은 원과



                 12) 『正易』「十五一言」“日極體位度數”, “先天, 三天兩地; 后天, 三地兩天.”
                 13) 『周髀算經』 上卷, “方屬地, 圓屬天, 天圓地方. 方數爲典, 以方出圓. 笠以寫天, 天靑黑, 地黃赤. 天數之爲笠也, 靑黑爲
                 表, 丹黃爲裏, 以象天地之位.”



                                                                                                    139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