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0 - 국제학술문화제-정신문화 분과
P. 190

정신문화 분과


                   10. 『주역』과 『천부경』의 연계성은 『周易』의 뿌리易인 『桓易』을 천부경으로 연역하였다는데서

                   찾을 수 있다. 『환단고기』에 보면 치우천황 때 紫府선생이 『天符經』의 정신을 『桓易』에 풀이해 놓
                   았다는 것이다. 『환역』은 하늘을 창조의 본체로, 땅을 변화의 작용[體圓用方]으로 하는 易理였으

                   며, 후대의 『周易』은 체·용을 겸비[互體互用]하여 천지인이 하나(一神)로 연결되었다는 三神思想
                   의 영향으로 人道가 天道와 地道와 合德하는 易理이다.

                   11. 『주역』의 三才思想과 『천부경』의 三神思想의 意義를 살펴보면, 천지인의 삼재사상은 易道의
                   ‘宇宙變化原理’를 핵심적으로 설명한 사유체계이다.

                   삼신사상은 하늘, 땅, 인간, 그리고 신명의 생성·변화원리를 자연신으로서의 조물주와 주재신으
                   로서의 하나(一神)에서 비롯한 一者가 형상화 되어가는 과정을 드러낸다. ‘1에서 10까지의 數理로

                   써 하늘의 뜻과 만물창조의 법칙’을 보여준다.





                 1. 緖論




                     1) 三數原理



                   한 민족의 삶과 정서적 공감을 형성하는 원형문화에 대해 칼 융(Carl. G. Jung. 1875~1961)은

                 집단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개념으로 설명한다. 그에 따르면 인간의 심층 속에는 후천
                 적 경험을 통해 얻은 것만이 아니라 태어날 때부터 부여된 무엇인가가 존재한다고 보고, 이를 집단

                 무의식이라 불렀다. 집단무의식은 인간 모두가 선험적으로 삶의 근본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
                 서 보편성에 대한 논의를 가능하게 하며, 인류역사를 통해 전달된 많은 原型(archetypes)들이 존

                 재한다고 하며, 융은 그 사례로 서양의 연금술, 영지주의 등과 동양의 『우파니샤드』, 『요가』, 『주
                 역』, 『도덕경』 등에 집단무의식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이 논리를 적용해 보면 동서양의 원형 중
                                                                 1)
                 에는 여러 문화원형들이 있지만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이 바로 三數文化일 것이다.
                   고대 동아시아의 뿌리사상인 음양론에서는 陽數의 1(一)과 陰數의 2(二)가 결합하면 3(三)이 되

                 는데, 이 3을 완성의 상징으로 여겼다. 특히 『周易』에서 ‘三數原理’는 우주만물의 생성·변화의 근
                 본원리로서 자리매김 해왔다. 이처럼 三數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간의 내면에 자리 잡은 원형의

                 이미지를 일깨우고 ‘완전한 수(the perfect number)’이자 ‘신의 수(God’s Number)’인 숫자 3
                 의 이미지가 드러나 있다.         2)

                   우리 민족의 신화와 민간신앙에서 함께 한 ‘3數’는 한민족의 數意識 속에 중심으로 자리 잡은 원


                 1) 김교빈. 『문화원형의 개념과 활용』. 인문콘텐츠학회. 제6호. 2005. 제13쪽
                 2) 박태봉. 『한국의 사상과 문화에 나타난 三數原理硏究: 현대적 활용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20. 제2~3쪽



                 190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