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4 - 대한사랑 12월호
P. 64

활동하기도 하였다.

                  그는 평소 김원봉의 부인 박차정을 여러 차례 병문안하고, 중도 좌파에
                속하는 김규식의 부인 김순애와 가깝게 지내는 등, 이념을 떠나 여러 민족

                운동가들과 함께하려 애썼다. 1943년 각 정파의 여성들이 힘을 합쳐 대한
                애국부인회를 재건하는 데 앞장섰고 훈련부 주임을 맡아 광복군을 후원

                하고 아이들에게 민족교육을 시행하고 국내외 한인 여성의 단결을 촉구하
                는 다양한 활동에 참여했다. 충칭의 3·1 유치원 교사로도 근무하는 등 임
                정을 대표하는 여성 독립운동가로 활동했다.

                  하지만 정정화의 주된 활동 영역은 임정의 안주인이었다. 망명 이후 해방
                으로 귀국하기까지 대부분을 임정 요인들의 뒷바라지에 바쳤다. 백범 김구

                는 물론 석오 이동녕(李東寧), 성재 이시영(李始榮) 등 임정 요인들 가운데 선생
                이 지어준 밥을 먹지 않은 분이 없었고, 임정의 가재도구 가운데 정정화의

                손때가 묻지 않은 것이 없었다. 고달픈 임정 요인들의 망명 생활은 정화가
                있음으로써 위안이 되었다. 더 나아가 27년간이라는 그 유례를 찾기 힘든

                임정의 역사도 정정화가 있음으로써 가능했다.

































                    가흥에서 정정화 가족. 김구 선생도 함께 있다.
                    ⓒ서울역사박물관



              62




       대한사랑_12월_본문.indd   62                                                                  2024-11-26   오전 11:53:27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