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3 - 월간 대한사랑 24년 2월호 (3호)
P. 93
2024. 02
또한 이 문제로 지방 공영방송 토론에 출
연한 학자들이 영산강 영역을 왜인들이 도래
한 지역으로 설정하였는데, 이 부분도 도민들
의 분노를 샀다.
유네스크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7개의
가야고분군은 최종 등재문서에서 『일본서기』
의 기문국·다라국 지명은 삭제되어 등재되었
지만, 『전라도 천년사』에는 남원을 『일본서
기』에 나오는 기문국, 장수를 반파국, 강진
배포가 무기한 연기된 『전라도 천년사』 해남을 침미다례 등으로 기술하는 등 다른
지역도 적극적으로 『일본서기』에 나온 고대
5,000년 전 역사로까지 범위가 확대되었 지역명으로 설정하여 기술하였다. 이는 100
다. 편찬위가 구성되었으나, 통사적 성격의 여 년 전 일본제국주의 정한론자들이 전라도,
천년사 기술을 통제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 경상도가 고대 왜의 식민지임을 증명하기 위
역할을 할 학자가 없다보니 참여한 학자들 해 비정한 『일본서기』 지명 비정을 그대로 계
일부가 검증도 없이 자신들이 주장하고 싶은 승한 것이다. 전라도민들에게 자긍심과 전라
내용을 기술하였는데도 전혀 통제가 되지 않 도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만든 전라도사가
고 그대로 출간되었다. 고조선 건국을 공식 부정하고 전라도민을 도
래한 왜인의 후손으로 낙인찍는 관찬사서가
단군조선 건국 부정, 『일본서기』에 따른 되어 버린 것이다. 표절률이 60% 이상이 되
전라도 지명을 비정한 『전라도 천년사』
는 기술 부분도 확인되었다.
그 중 가장 큰 문제가 되어서 도민뿐만 아
니라 국민들의 분노를 자아낸 부분이 단군 배포를 강행하려 한 전북
조선 건국을 공식 부정하고 고조선의 범위를
도민들의 여론이 좋지 않자 편찬위는 도민
한반도 내부로 설정한 부분이었다.
들의 의사를 수렴하여 반영하겠다고 약속하
다음으로 전라도민들의 자존심을 구긴 내
고 여론 수렴창을 받았는데, 공개 사이트가
용이 전라남북의 고대 지명을 설정하면서 한
아닌 개인 메일로 접수하게 하는 방식으로
일고대사 논쟁에서 민감한 『일본서기』의 임
진행하였다. 누가 무슨 의견을 내었는지, 몇
나일본부 관련지명을 전라남북도에 비정, 확
사람이 의견을 내었는지 전혀 알 수 없게 하
정하였다는 것이다.
91
0202월간대한사랑_3호_본문.indd 91 2024-02-05 오후 5:2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