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4 - 월간 대한사랑 24년 2월호 (3호)
P. 84
3) 사회운동론 관점에서 역사 왜곡 대응 연재해 책임문제, 근대적 발전문제, 전후 책
세 번째로 이 논문에서 사회운동론을 주목 임문제 등을 포함하여 다양하다.
하는 이유는 그 대응방안을 기존의 제도적 일제 강제동원 피해보상, 2차 세계대전에
차원에서 접근하려 할 때 상당한 어려움에 직 서 일본군 성노예문제, 독도영유권 주장, 한
면할 가능성이 크다는 데 있다. 사회제도의 국사교과서 왜곡, 그리고 임나일본부설의 영
주요 부문에 친일세력이 자리 잡고 있는 현실 역 확장 등 일본의 우월적 역사 왜곡은 21세
을 고려할 때, 이에 대응하는 접근 전략으로 기에 이르러 더욱 심화되었는데 이러한 왜곡
서 비제도적 성격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운동 의 시작에는 막부시대에 풍신수길을 중심으
에 주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판단이다. 로 한 무장세력이 내세운 정한론에서 기인한
사회운동은 시민대중의 원초적인 사회적 다. 왜곡 주체는 폭력을 토대로 하여 국가권
힘(social power)을 바탕으로 할 뿐 아니라 특히 력을 장악한 무장세력이 중심이 되고 그 하
한국의 시민 대중들이 위기의 매 순간마다 건 부 지원조직은 상징적 권위자와 비무장의 문
강한 민족정신으로 일제의 잔혹한 억압에 치 사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들의 목표는 영토
열하게 저항했던 독립운동의 빛나는 역사가 확장과 지배력 강화가 기본인데 이를 위해 일본
있다는 사실은 사회운동에 대한 희망적 전망 고대사에서 조작된 편견과 우월감을 바탕으로
을 가능케 한다. 실제로 20세기 후반 많은 신 한 정한론의 이데올로기가 그 바탕 논리이다. 역
생국가들 가운데에서 한국 사회가 독보적으 사왜곡의 목표 달성을 위해서 물리력, 경제력
로 산업화와 민주화를 성취했던 동력도 시민 및 다양한 외교수단을 병행하여 진행해왔다.
대중의 힘에서 기원한다고 본다. 따라서 이
논문은 역사왜곡 대응방안을 사회운동론의 관
점에서 체계적으로 구성하여 대응체제 구축을
시도하는 것이다.
우리가 더 주목해야 할 사실은 한국사에
대한 일본의 역사왜곡이 한국 내부에 이전
일본의 한국사 왜곡과 대응
되고 뿌리내려 사회의 심층부에 자리 잡고
일본이 현재까지 자행하고 있는 역사왜곡 있다는 사실이다.
의 논리는 정한론(征韓論), 정체성론(停滯性論),
식민지근대화론(植民地近代化論), 만선경영론(滿
鮮經營論) 등에 근거하고 있다. 이는 양국관계
에서의 근원적 차별을 비롯하여 영토문제, 자
82
0202월간대한사랑_3호_본문.indd 82 2024-02-05 오후 5:2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