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1 - 월간 대한사랑 24년 2월호 (3호)
P. 81
2024. 02
6년에 죽은 것이 된다, 그런데 소서노가 패대의 땅을 개척하여 13년(기원전
31~기원전 19)만에 세상을 떠났으니 『삼국사기』에 기록된 온조왕 13년은 소
서노의 재위(在位) 13년의 오기인 듯하다. 그리고 소서노가 61세에 세상을
떠났다고 했으니, 기원전 79년생이 되어 고주몽과 동년에 태어나 동년에
졸(卒)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서 강단사학계의 인식과 『환단고기』의 내용을 비교하여 도표
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백제 건국과 관련된 강단사학계와 『환단고기』의 차이점
항 목 강단 사학계의 인식 환단고기의 내용
백제 건국의 뿌리 비류 또는 온조 소서노
백제 건국지 인천과 하남위례성 하북성 난하 당산시 주위 일대
패수 청천강 또는 예성강 하북성 난하
하북성 당산시 풍윤현 요대산에서
대수 임진강 또는 한강
출수(出水)
이주경로 평안도 황해도를 거쳐옴 하북성 난하구에서 배를 타고 옴
소서노를 계승하여 하북성 난하
비류가 임금이 된 곳 인천 미추홀
당산시 일대
소서노 재위기간 없음 기원전 31년 ~ 기원전 19년 (13년)
소서노 생졸년 기원전 66년 ~ 기원전 6년 (61세) 기원전 79년 ~ 기원전 19년 (61세)
소서노의 아버지 연타발 또는 부여왕 북부여 6대 고무서 단군
79
0202월간대한사랑_3호_본문.indd 79 2024-02-05 오후 5:2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