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5 - 국제학술문화제-천부경/국제 분과
P. 165

계연수의 『천부경』 이해  김철수, 전재우



                 ‘삼신의 도로써 가르침을 세우신[三神立敎]’ 이래 곳곳에 세워졌다고 기록되어있다.



                    이로부터 소도가 건립되어 도처에서 볼 수 있었고, 산상山像과 웅상雄常이 산꼭대기마다 있게

                    되었다(自是로 蘇塗之立이 到處可見이오 山像과 雄常이 山頂皆有하며).
                                                                                   4)


                   이러한 소도의 이야기를 전하는 「소도경전본훈蘇塗經典本訓」은 『태백일사』의 다섯 번째 편 제
                        5)
                 목이다.  「소도경전본훈」에는 한민족의 소의경전所依經典인 『천부경』, 『삼황내문경三皇內文經』,
                 『삼일신고三一神誥』, 『신지비사神誌秘詞』, 『참전계경參佺戒經』 등의 기원과 그 내용을 자세히 전
                 하고 있다.  ‘소도의 경전’인 『천부경』은 제천의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태백일사』 「삼한관
                          6)
                 경본기」에 따르면, 천제(환웅천황)가 산에 행차하시는 의장에는 풍백이 『천부경』을 새긴 거울을
                 진상한다고 했다.


                    세상에서 전하기를 “환웅천황이 이곳에 순행하여 머무시면서 사냥하여 제사 지내실 때, 풍백은

                    『천부경』을 새긴 거울을 진상하고, 우사는 삼신맞이 북소리(迎鼓)에 맞추어 환무를 추고, 운사
                    는 백 명의 무사로 호위했다”라고 하였다. 천제(환웅천황)가 산에 행차하시는 의장이 이처럼 성

                    대하고 엄숙하였다(世傳桓雄天王이 巡駐於此하사 佃獵以祭하실새 風伯은 天符刻鏡而進하고
                    雨師는 迎鼓環舞하며 雲師는 佰劒陛衛하니라. 盖天帝就山之儀仗이 若是之盛嚴也라).
                                                                                               7)


                   이러한 『천부경』은 ‘제왕학’이며 ‘통치학’이었다. 이 소도제천과 더불어 역대 왕조에서는 『천부

                 경』을 풀어주고, 『삼일신고』를 강론하며 백성들을 교화하였다.



                    환웅천황께서 처음으로 동방 배달의 새 역사 시대를 열고(開天) 백성에게 교화를 펴실 때, 『천부
                    경』을 풀어 설명하고 『삼일신고』를 강론하여 뭇 백성에게 큰 가르침을 베푸셨다(桓雄天王이

                    肇自開天으로 生民施化하실새 演天經하시고 講神誥하사 大訓于衆하시니라).(『삼성기전三聖
                    紀全』 「하편下篇」)     8)


                 를 좋아한다. 그처럼 소도를 세운 뜻은 마치 浮屠를 세운 것과 같으나 그 행해진 바의 선악은 달랐다.(“國邑各立一人主祭
                 天神, 名之天君. 又諸國各有別邑. 名之爲蘇塗. 立大木, 縣鈴鼓, 事鬼神. 諸亡逃至其中, 皆不還之, 好作賊. 其立蘇塗之義,
                 有似浮屠, 而所行善惡有異.”(『三國志』 「魏誌 東夷傳」).” 제사장으로서의 천군은 통치자와는 별도로 농경 의식과 종교
                 의례를 주관하였다. 그 뒤 시간이 흐르면서 천군은 왕으로 바뀌었고 별읍이었던 소도는 정치 중심지가 되었다.
                 4) 안경전 역주, 『환단고기』, 324~325쪽.
                 5) 이유립은 『배달민족사대강倍達民族史大綱』에서 “〔소도蘇塗의 경전본훈經典本訓〕”으로 풀이한 바 있다. 李裕岦,
                 『대배달민족사』 2권(서울: 고려가, 1987), 58쪽.
                 6) 안경전 역주, 『환단고기』, 499쪽.
                 7) 안경전 역주, 『환단고기』, 428~429쪽. 이유립은 『환단고기정해桓檀古記正解』에서 ‘천제취산지의장天帝就山之儀
                 仗’에 대해 “등극식이 산의 정상에서 행하기에 취산就山이라하니 제천의식이 역시 같다(登極式이 行於山頂故로 曰就山
                 이니 祭天之式이 亦同이라).”라고 주석을 달았다. 李裕岦, 『대배달민족사』 1권, 477쪽.



                                                                                                    165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