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4 - 국제학술문화제-정신문화 분과
P. 214

정신문화 분과


                 존을 위해서는 천지와 하나 되는 天人合一이 중요하다. 필자는 『주역』과 『천부경』의 인간론에서

                 『주역』의 天人合一思想은 천도에 順應하며 自彊不息하는 人太極의 表象으로 만물이 제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開物) 도와주며, 천지의 뜻을 이루어(成務) 진정한 天人合一을 성취하는 이가 聖人 혹은

                 大人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인류의 원형문화를 담고 있는 『천부경』에서는 천지의 광명을 회복
                 하여 천지와 하나 된 ‘太一人間’으로 表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三才(주역)와 三神(천부경)의 相關

                 性(공통점과 차이점)을 아래 표로 정리하였다.



                                             < 三才(주역)와 三神(천부경)의 비교 >

                      구  분                      三 才(주역)                            三 神(천부경)

                                     하늘(天)·땅(地)·인간(人):형이하적 개념                   조화신·교화신·치화신
                      內   容
                                         천도·지도·인도: 형이상적 개념                       천일·지일·인일(태일)


                   最初 出現 時期           5,500년 경 배달국(제5세 태우의 환웅)               9,000년 전 환국 때부터 구전

                   始畫者, 始畫卦
                                          태호복희씨(천하왕) 伏羲八卦                     신지 혁덕(환웅천황) 鹿圖文
                   始錄者, 記錄文


                     背景 思想                 三數原理에 기반한 陰陽論                         執一含三, 會三歸一

                     指向 思想                   天人合一, 天地合德                        三神一體之道, 太一人間


                     象徵 數字                  天(1)·地(2)·人(3), 1〈3                  天·帝(1)·人(3), 1〉3
                      不等號                   成事在人하는 인간의지                          神人合一의 無爲而化

                     象徵 體系                        卦와 爻                            圓方角(○,□,△)


                     後代 影向       동아시아 사상, 문화, 정치 등 : 易哲學, 왕도정치 등            유·불·선·기독교 등 三位一體論

                      意   義               우주변화원리를 삼재로 설명                        창세 원형 문화, 3·1철학


                   周易·天符經의   치우천황 때 자부선생이 周易의 뿌리易인 桓易을 天符經으로 演繹함 ⇒ 하나(一神)에서
                      連繫性            비롯한 一者가 형상화되어 天地人 三才思想에 영향을 끼침: 易道와 易理에 영향




















                 214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