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3 - 국제학술문화제-정신문화 분과
P. 213
周易의 三才思想과 天符經의 三神思想의 相關性 연구 한태일
상징하며, 扶餘도 아침 해가 부옇게 비추는 모습을, 단군의 ‘檀’도 밝음과 광명을 의미하며, 단군이
도읍을 정한 ‘아사달’ 또한 아침과 밝음을 뜻하는 데서도 확인할 수 있다.
현대 물리학에서 우주가 한 점 빛에서 시작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합리적·과학적 사고에서 나온
한 점의 빛(光)은 직관적인 영성적 깨달음으로 말하면 그 빛은 바로 마음(心)이다. 특히 우주창조
순간의 한 점의 빛(一光)이 곧 하느님(一神)의 마음이며 그 마음은 고스란히 인간의 한마음(一心)에
담겨 있다. 『환단고기』에서도 光明은 바로 三神하느님이며 이는 우주 만물보다 앞섰다고 한다. 여
기에서 ‘빛(光)=마음(心)’이란 등식이 성립한다. 온 우주의 에너지가 한 점의 빛으로 모아 놓았다면
그 파워는 상상을 초월한다. 태초에 한 점에서 대폭발하여 우주가 탄생되었다는 것이 빅뱅(Big
Bang)우주론이며 그 때 창조된 우주는 지금도 팽창하고 있다. 그 한 점(一點)=한 빛(一光)=한 마음
(一心)이다. 이는 곧 한 사람의 ‘一心자리’는 우주의 ‘造化자리’와 통한다는 말이다. 그렇게 한마음
을 갖는 사람은 즉 우주와 한마음이라서 천지와 하나(中天地)가 될 수 있다는 말이다.
그래서 천지인의 광명정신을 담고 있는 『환단고기』에서도 천광명(桓)=지광명(檀) 76) 이라 하였다.
人中天地一은 천지인이 混元一氣로서 진정한 하나(一)가 될 때 太一人間이 된다는 뜻이며, 三神一
體之道를 체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인간은 하늘과 땅과 같이 따로 존재할 수도 있지만, 하늘과 땅
을 하나로 이을 수도 있다. 또 천지의 뜻에 거스릴 수도 있지만, 천지의 뜻을 이어받아 우주의 이상
을 실현할 수도 있는 존재이다.
이처럼 인간[人]은 양극단의 끝에 설 수도 있지만 하늘과 땅을 잇는 중재자[中]이자 조화자로서
천지[天地]의 뜻을 하나[一]로 이어주는 ‘中一人間’으로 自尊할 수 있다. 또 천지와 하나(1太極)된
인간을 ‘太一人間’의 ‘太一’은 太極의 ‘太’와 태극의 象徵數인 ‘一’에서 나오지 않았을까 추정해본
다. 그러므로 『천부경』은 무극에서 시작 된 태극(一始無始一)이 결국은 무극으로 마무리 짓는 태극
(一終無終一)이 된다는 ‘一始一終’의 三一哲學이다
4. 결론
본 논문은 원형문화이자 동아시아 기층문화에 자리 잡은 三數原理가 『주역』에서는 ‘三才思想’으
로 정립되었으며, 『천부경』에서는 ‘三神思想’으로 체계화되었음을 고찰하였다. 『주역』은 卦와 爻
의 象으로써 우주변화원리, 구체적으로 하늘·땅·인간의 三才가 天人合一로 귀결됨을 규명한다. 易
의 卦象 자체가 천지인의 三才를 상징하므로 天道(陰陽)·地道(剛柔)·人道(仁義)를 담고 있는 六爻의
괘상에는 空間性을 강조한 三才之道가 들어있다. 그러므로 64괘의 괘상을 연구하면 易道의 핵심인
삼재지도를 밝힐 수 있다. 아울러 三極之道는 六爻로서 순환적 시간관인 終始의 개념을 易理로 전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天地人의 변화원리는 조화와 균형과 생명을 중시하며 三才의 조화로운 공
76) 안경전역주. 『환단고기』. 대전. 2012. 제912쪽. 自天光明을 謂之桓也오 自地光明을 謂之檀也오
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