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8 - 국제학술문화제-정신문화 분과
P. 148

정신문화 분과


                   2) 『맹자』 공손추 상편에 ‘仁’을 ‘가엽게 보는 마음(不忍人之心)’이라 하였고, 『맹자』 양혜왕 상편

                 에도 왕이 맹자에게 “우리나라에 무슨 이익(利)이 있겠는가?”라고 물었을 때 맹자가 “왕께서 하필
                 이익(利)를 말씀하십니까? 다만 인의(仁義)가 있을 뿐입니다.”라고 하였다. 또 『맹자』 이루장구 하

                 에 “군자의 인(仁)이라는 것은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3) 『논어』 이인(里仁)편에도 “군자는 인의(仁義)에 밝고 소인은 이익(利)에 밝다.”라고 하였고 또

                 “군자는 베품(德)을 생각하고 소인은 이익(惠)을 탐한다.” 라고 하여 이익(利)을 생각하는 것은 소
                 인의 행위임을 말하고 있다.



                   4) 『대학』에서도 이익(利)보다 베품(仁)을 강조하여 이(利)를 인(仁)의 하위개념에 두었다. 인(仁)

                 하면 이(利)는 절로 따라오는 부산물임을 말하고 있다. 즉 “한 고을이 인(仁-베푸는 정치)하면 한
                 나라가 인(仁)을 일으킨다.(一家仁이면 一國興仁)”라고 하였고, “요순이 인(仁-베품)으로써 천하를

                 다스리니 백성들이 감복하여 잘 따랐다.”라고 하였다. 또 『대학』에서 군자의 친애(親愛)와 소인의
                 이익(利)을 분명히 구분하였다.(君子는 賢其賢而親其親하고 小人은 樂其樂而利其利)

                   따라서 ‘弘益人間’의 ‘益’도 이(利)가 아니라 ‘군자의 인애(仁愛)와 베품(仁)’으로 보아야 한다. 즉
                 앞의 『대학』의 “군자는 친애(仁)함을 바탕으로 여기고 소인은 이로움(利)을 즐긴다.”라고 한 내용

                 과 『맹자』의 “왕께서 하필 이익(利)를 말씀하십니까? 다만 인의(仁義)가 있을 뿐입니다.”라는 내용
                 에서 보듯이 ‘利’는 소인의 이익이요, ‘仁’은 대인의 베품이다. 따라서 ‘홍익’은 ‘백성들에게 널리

                 베푸는 정신’이다. <弘益人間 在世理化>란 ‘백성들에게 널리 베풀어 그들의 생활이 편안하도록 한
                 다’라는 의미이다. 여기서 군자는 일반적인 군자(君子-교양인)를 넘어 인군(仁君-어진 임금)이다.

                   또 세종의 즉위 교서에 “어진 마음으로 베푸는 정치를 하는 임금이 되겠다.(施仁發政)”는 세종의
                 애민정신은 조선의 천문학을 정립하여 명나라의 하늘에서 벗어나 조선의 하늘을 찾게 한 『칠정산

                 내외편』을 완성하였고 우리 현실에 맞는 농사를 짓도록 『농사직설』을 펴냈고 글을 모르는 백성을
                 교화하기 위한 『삼강행실도』와 『훈민정음』을 만든 것도 모두 애민정신 즉 홍익정신이라 할 수 있

                 다. 또 『훈민정음』 서문에 나오는 “내가 이를 가엽게 여겨(不忍人之心) 훈민정음28글자를 만들었
                 다.(予爲此憫然하여 新制二十八字)”라는 내용과 『훈민정음』 「합자해」의 “길이길이 우리 백성들의

                 눈구멍을 뚫어주었네.(大東千古開矇矓)”라는 내용도 임금이 백성을 가엽게 여겨서(不忍人之心) 행
                 하는 인(仁-베품)의 정치 즉 홍익정신이다. 또한 ‘홍익인간(弘益人間)’은 비록 임금뿐 아니라 선비

                 들과 백성들 사이에서도 두루 지켜야 할 행동기준이자 덕목이었다고 보는 것이다. <인간(人間)>은
                 <사람 사는 세상>으로 풀어야 할 것으로 본다. 즉 넓은 뜻으로 본 <인간>이라는 의미는 사람 사이,

                 부부 사이, 부모자식 사이, 친구 사이, 이웃 사이, 동네 사이, 국가 사이 등의 서로간의 관계이다.
                 감사합니다.









                 148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