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8 - 국제학술문화제-동북공정 분과
P. 278

동북공정 분과


                   3) 『조선역사지리』 구성

                   만선역사지리조사부는 중국과 한국에서 관련 자료들을 수집하는데 힘을 기울인 것으로 보인다.
                 『조선역사지리』에 인용된 사서들을 보면 한국과 중국의 자료들이 거의 망라된 것으로 보인다. 조

                 사부에서 수집한 자료들은 보면 아래 표와 같다.




                                    한국            삼국사기,삼국유사,고려사,신증동국여지승람,대동여지도 등
                                            사기, 한서, 후한서, 삼국지, 진서(晉書), 송서, 남제서, 양서, 주서, 수서, 당서,
                                    중국
                    조선역사지리1                          산해경, 수경, 수경주, 십삼주기, 책부원귀, 통전 등
                                    일본                   일본서기, 고사기, 신찬성씨록, 속일본기

                                   금석문                     광개토왕비, 신라황초령진흥왕순수비

                                    한국                 삼국사기, 고려사, 동국여지승람, 대동여지도 등
                    조선역사지리2
                                    중국                      오대사, 거단국지, 대명일통지 등

                                              <표 3> 『조선역사지리』 인용서적        28)



                   1908년 1월에 만선역사지리조사부가 구성된 후 약 5년 동안 자료를 수집, 검토, 분석하면서 다
                 섯 책으로 역사연구보고를 간행했다. 『만주역사지리』 제1·2권과 『조선역사지리』 제1·2권, 그리

                 고 『文祿慶長の役』 정편 제1 등 5책이었다.
                   그 중에서 쓰다 소키치가 저술한 『조선역사지리』는 여러 명이 함께 저술한 『만주역사지리』에

                 비해 내용과 체제가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평이다. 아래 <표 4>와 같이 『조선역사지리』는 신라 말
                 과 고려 초를 기준으로 제 1권과 2권으로 나눴다.


                                     제1권                                        제2권
                  1.浿水考                                       15.高麗西北境의 개척

                  2.三韓疆域考                                     16.高麗東北境의 개척

                  3.百濟慰禮城考                                    17.尹瓘征略地域考
                  4.好太王征服地域考                                  18.元代 高麗 西北境의 혼란

                  5.長壽王征服地域考                                  19.元代 高麗의 東北境

                  6.眞興王征服地域考                                  20.高麗末 鴨綠江畔의 영토
                  7.任那疆域考                                     21.高麗末 東北境의 개척

                  8.新羅征討地理考                                   22.鮮初 豆滿江 方面의 經略



                 27) 박찬흥, 「만선역사지리조사부와 고대 ‘만선역사지리’연구」『역사와 담론』75, (2015), 143쪽
                 28) 박찬흥, 「만선역사지리조사부와 고대 ‘만선역사지리’연구」, 145쪽 표1 일부 인용



                 278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