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2 - 국제학술문화제-가야사/환단고기 분과
P. 52
가야사 분과 1
참고문헌
(원전)
『三國史記』 『日本書紀』 『三國志』
(단행본)
세키네 히데유키(關根英行), 『일본인의 형성과 한반도 도래인』, 경인문화사, 2020,
조희승 지음, 이덕일 주해, 『북한 학자 조희승의 임나일본부 해부』,도서출판 말,2019
최재석, 『일본고대사연구비판』, 일지사,1990
최재석, 『고대한일관계사연구』, 경인문화사,2010
김석형, 『고대한일관계사』, 도서출판 한마당, 1988.
김석형, 『초기조일관계사 (하)』, 사회과학출판사, 1988.
최재석, 『일본고대사의 진실』, 경인문화사, 2010.
조희승, 『가야사연구』, 사회과학출판사, 1994.
조희승, 『초기조일관계사 (상)』, 사회과학출판사, 1988.
조희승, 『일본에서 조선 소국의 형성과 발전』,도서출판 민족문화,1995
조희승 지음, 『북한학계의 가야사 연구』 , 도서출판 말, 2020.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7.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 가야』, 국사편찬위원회, 1997.
(논문)
세키네 히데유키, 「일본 고고학자의 한반도 도래인 인식- 일본 인류학자와의 대조를 통해서 -」,
『東아시아 古代學 第42輯(2016.06)』, 2016
세키네 히데유키, 「‘쓰다 사학(津田史學)’신대사 해석과 한·일 민족의 계통관계」, 『日本思想』12
호, 2007
박현숙, 「津田左右吉의 단일민족설과 고대 한·일 민족관계 인식」, 『동북아역사논총 26호』, 2009
박천수, 「가야加耶와 왜倭의 교류交流의 변천과 역사적 배경」, 『2018년 가야고분군 세계유산등
재를 위한 국제학술대회』, 2018
박천수, 「호남 동부지역을 둘러싼 大伽耶와 百濟– 任那四縣과 己汶, 帶沙를 중심으로–」, 韓國上古
史學報 第65號, 2009
연민수, 「日本書紀 神功紀의 史料批判」, 『일본학』, 15호, 1995
박장우, 「‘임나 가야설’에 대한 비판적 고찰」, 신한대학교 석사논문, 2021,
김수지, 「일본열도 한반도도래인(韓半島渡來人)설 부정(否定)인식 정리」, 바른역사학술원, 역사
와 융합 제10호, 2022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