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회원가입

역사칼럼

정조의 생애와 단군 위상 제고

                                             정조의 생애와 단군 위상 제고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국학박사, 향토사학자, 시인, 칼럼니스트) 신상구

                                                   1.정조의 생애와 업적
  정조(正祖, 1752-1800)는 조선 제22대 왕으로 영조 28년인 1752년에 영조의 둘째 아들인 장헌세자(莊獻世子, 일명 思悼世子)와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 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났다. 이름은 산(?). 자는 형운(亨運), 호는 홍재(弘齋)이다.
  1759년(영조 35) 세손에 책봉되고 1762년 장헌세자가 비극의 죽음을 당하자 요절한 영조의 맏아들 효장세자(孝章世子 : 뒤에 眞宗이 됨)의 후사(後嗣)가 되어 왕통을 이었다.
  1775년에 대리청정을 하다가 다음해 영조가 죽자 25세로 왕위에 올랐는데, 생부인 장헌세자가 당쟁에 희생되었듯이 정조 또한 세손으로 갖은 위험 속에서 홍국영(洪國榮) 등의 도움을 받아 어려움을 이겨냈다.
  그리고 ‘개유와(皆有窩)’라는 도서실을 마련해 청나라의 건륭문화(乾隆文化)에 관심을 갖고 서적을 수입하면서 학문 연마에 힘썼다.
  그리하여 즉위하자 곧 규장각(奎章閣)을 설치해 문화정치를 표방하는 한편, 그의 즉위를 방해했던 정후겸(鄭厚謙)·홍인한(洪麟漢)·홍상간(洪相簡)·윤양로(尹養老) 등을 제거하였다. 나아가 그의 총애를 빙자해 세도정치를 자행하던 홍국영마저 축출해 친정체제를 구축하는 데 주력하였다.
  정조는 퇴색해버린 홍문관을 대신해 규장각을 문형(文衡)의 상징적 존재로 삼고, 홍문관·승정원·춘추관·종부시 등의 기능을 점진적으로 부여하면서 정권의 핵심적 기구로 키워나갔다.
  ‘우문지치(右文之治)’와 ‘작성지화(作成之化)’를 규장각의 2대 명분으로 내세우고 본격적인 문화정치를 추진하고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 것이다.
  ‘작성지화’의 명분 아래 기성의 인재를 모으고, 참상(參上)·참외(參外)의 연소한 문신들을 선발, 교육해 국가의 동량으로 키워 자신의 친위세력으로 확보하고자 하였다. ‘우문지치’의 명분 아래 세손 때부터 추진한『사고전서 四庫全書』의 수입에 노력하는 동시에 서적 간행에도 힘을 기울여 새로운 활자를 개발하였다. 곧 임진자(壬辰字)·정유자(丁酉字)·한구자(韓構字)·생생자(生生字)·정리자(整理字)·춘추관자(春秋館字) 등을 새로 만들어 많은 서적을 편찬하였다. 사서·삼경 등의 당판서적(唐版書籍)의 수입 금지 조처도 이와 같이 자기문화의 축적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또한 왕조 초기에 제정, 정비된 문물제도를 변화하는 조선후기 사회에 맞추어 재정리하기 위해 영조 때부터 시작된 정비작업을 계승, 완결하였다.『속오례의(續五禮儀)』,『증보동국문헌비고(增補東國文獻備考)』,『국조보감(國朝寶鑑)』,『대전통편(大典通編)』,『문원보불(文苑??)』,『동문휘고(同文彙考)』,『규장전운(奎章全韻)』, 『오륜행실(五倫行實)』등이 그 결과였다. 이와 함께 자신의 저작물도 정리해 1814년에 『홍재전서(弘齋全書』(184권 100책)로 간행되도록 하였다.
   그는 아버지의 죽음으로 인해 당쟁에 대해 극도의 혐오감을 가졌으며, 왕권을 강화하고 체제를 재정비하기 위해 영조 이래의 기본정책인 탕평책을 계승하였다.
   그러나 강고하게 세력을 구축하던 노론이 끝까지 당론을 고수해 벽파(僻派)로 남고, 정조의 정치노선에 찬성하던 남인과 소론 및 일부 노론이 시파(時派)를 형성해, 당쟁은 종래의 사색당파에서 시파와 벽파의 갈등이라는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그가 1794년에 들고 나온 ‘문체반정(文體反正)’이라는 문풍(文風)의 개혁론은 이러한 정치적 상황과도 관련되었다. 그는 즉위 초부터 문풍이 세도(世道)를 반영한다는 전제 아래 문풍쇄신을 통한 세도의 광정(匡正)을 추구하였다. 하지만 이를 본격적으로 내건 것은 정치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도의 정치술수이자, 탕평책의 구체적인 장치였다고 이해된다.
   그는 학문적으로도 육경(六經) 중심의 남인학파와 친밀했을 뿐 아니라 예론(禮論)에 있어서도 ‘왕자례부동사서(王者禮不同士庶)’를 주장해 왕권 우위의 보수적 사고를 지닌 남인학파 내지 남인정파와 밀착될 소지를 다분히 안고 있었다. 그러나 ‘천하동례(天下同禮)’를 주창하면서 신권(臣權)을 주장하는 노론 중에서도 진보주의적인 젊은 자제들은 북학사상(北學思想)을 형성하고 있었으므로 그의 학자적 소양은 이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그리하여 규장각에 검서관(檢書官) 제도를 신설하고 북학파의 종장(宗匠)인 박지원(朴趾源)의 제자들, 즉 이덕무(李德懋)·유득공(柳得恭)·박제가(朴齊家) 등을 등용해 그 사상을 수용하였다. 그런데 검서관들의 신분은 서얼로서, 영조 때부터 탕평책의 이념에 편승해 ‘서얼통청운동(庶蘖通淸運動)’이라는 신분상승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므로 이들의 임용은 서얼통청이라는 사회적 요청에 부응하는 조처이기도 하였다.
   정조는 이와 같이 남인에 뿌리를 둔 실학파와 노론에 기반을 둔 북학파 등 제학파의 장점을 수용하고 그 학풍을 특색있게 장려해 문운(文運)을 진작시켜나갔다. 한편으로는 문화의 저변확산을 꾀해 중인(中人) 이하 계층의 위항문학(委巷文學)도 적극 지원하였다.
   여기서 인왕산을 중심으로 경아전(京衙典)이 주축이 된 중인 이하 계층의 위항인(委巷人)들이 귀족문학으로 성립되어온 한문학의 시단에 대거 참여해 그들만의 ‘옥계시사(玉溪詩社)’를 결성하고, 공동시집인『풍요속선(風謠續選)』을 발간하는 등 성관(盛觀)을 이루어 중인문화의 원동력이 되고 뒷날 ‘필운대풍월(弼雲臺風月)’의 효시를 보게도 되었다.
   정조대의 시기를 조선시대의 문예부흥기로 일컫기도 한다. 문예부흥이 가능했던 배경은 병자호란 이후 17세기 후반의 화이론(華夷論)에 입각한 조선중화의식(朝鮮中華意識)이 고취되고, 이에 따른 북벌론(北伐論)의 대의명분 아래 조선성리학의 이념에 입각한 예치(禮治)의 실현이라는 당면과제를 국민상하가 일치단결해 수행해가는 과정에서 이룩한 자긍심과 조선문화의 독자적 발전에 있었다.
   이러한 조선의 고유문화현상 경향은 18세기 전반에 문화의 제반 분야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를테면 그림에서 진경산수(眞景山水)라는 ‘국화풍(國?風)’, 글씨에서 동국진체(東國眞體)라는 ‘국서풍(國書風)’이 그것이다.
   이는 조선성리학의 고유화에 따른 조선문화의 독자성의 발로이며, 바로 이러한 축적 위에 정조의 학자적 소양에서 기인하는 문화정책의 추진과 선진문화인 건륭문화의 수입이 자극이 되어, 이른바 조선 후기의 도미적성관(掉尾的盛觀)으로 파악되는 황금시대를 가능하게 한 것이었다.
   정조의 업적은 규장각을 통한 문화사업이 대종을 이루지만, 이 밖에도『일성록(日省錄)』의 편수,『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의 편찬, 장용영(壯勇營)의 설치, 형정(刑政)의 개혁, 궁차징세법(宮差徵稅法)의 폐지,『자휼전칙(字恤典則)』의 반포,『서류소통절목(庶類疏通節目)』의 공포, 노비추쇄법(奴婢推刷法)의 폐지, 천세력(千歲曆)의 제정 및 보급, 통공정책(通共政策)의 실시 등을 손꼽을 수 있다.
   그리고 당시 정치문제였던 서학(西學)에 대해 정학(正學)의 진흥만이 서학의 만연을 막는 길이라는 원칙 아래 유연하게 대처한 점도 높이 평가할 만하다.
   정조는 비명에 죽은 아버지에 대한 복수와 예우문제에도 고심하였다. 외조부 홍봉한(洪鳳漢)이 노론 세도가로서 아버지의 죽음과 관련되었지만, 홀로 된 어머니를 생각해 사면해야 하는 갈등을 겪었다. 또 아버지를 장헌세자로 추존하였다.(고종 때 장조로 추존됨) 또한 양주 배봉산(拜峰山) 아래에 있던 장헌세자의 묘를 수원 화산(花山) 아래로 이장해 현륭원(顯隆園)이라 했다가 다시 융릉(隆陵)으로 올렸고, 용주사(龍珠寺)를 세워 원찰(願刹)로 삼았다. 그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복권과 어머니 혜경궁 홍씨에 대한 효도를 수원에 신도시를 건설하는 것으로 완수하였다.
   옛 수원 관아가 있던 화산에 융륭을 조성하면서 대신 팔달산 기슭에 신도시 화성을 건설하고 어머니의 회갑연을 화성 행궁에서 열었다. 권신(權臣)들의 뿌리가 강고한 서울에서 벗어나 신도시 수원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정치적 구상을 가진 것이었다.
   왕의 말을 ‘교(敎 : 가르침)’로 표현한 데서 단적으로 나타나듯이 왕은 통치자일뿐만 아니라 몸소 실천해 모범을 보여 큰 스승이 되어야 하는 것이 조선시대였다.
   조선이 성리학이념을 채택하고 ‘우문정치(右文政治)’로 표현되는 문화정치를 표방한 지 400년만에 명실 부합한 전형적인 학자군주가 탄생한 것이었다.
   그는 조선시대 27명의 왕 가운데 유일하게 문집을 남겼다. 180권 100책 10갑에 달하는 그의 문집이『홍재전서(弘齋全書)』로 간행된 것이다. 이러한 학문적 토대가 있었기에 스스로 임금이자 스승인 군사(君師)로 자부하고 신하들을 영도할 수 있었다. 학문을 숭상하는 시대에 탁월한 학문적 능력으로 군사의 위상을 확보하여 문화국가를 통치한 것이다.
                                  2. 정조의 한국 선도 전통 수용과 단군의 위상 제고  
  1392년 조선 건국 후, 200여 년의 시간이 흐른 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며 조선 사회는 뿌리부터 흔들리는 위기를 맞게 된다. 이후 전쟁의 후유증을 극복하기 위해 민족적 각성이 강하게 일어나며 성리학을 중심으로 했던 기존의 사상에 대해 새로이 반성하는 계기가 된다. 17세기 후반 숙종 대에 이르러서는 성리학의 정통적 역사인식이 강화되며 덩달아 선도적 역사인식도 두드러지기 시작한다.
  정조는 우여곡절 끝에 왕위에 오른 후, 성리학을 국가이념으로 중심 삼으면서도 치열한 학문적 연마를 통하여 유교 외에도 불교와 도교의 전통까지 포용하는 개방적인 삼교관(三敎觀)을 보였다. 특히 정조는 직접 선도의 조식(調息) 수행까지 하며, 선도의 전통을 포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정조는 선도제천(仙道祭天)의 전통을 중요시하고, 한국 선도의 경전인『천부경(天符經)』을 언급하는 등 고유의 선도 전통에 대한 이해가 깊었다. 특히 평안도에 있는 단군묘(檀君廟)인 숭령전(崇靈殿)에 제사 지내는 것을 검토하게 하는 등의 방식으로 단군의 위상을 높이고자 노력했다. 또한, 환인(桓因)·환웅(桓雄)·단군(檀君)을 모시는 사당인 삼성사(三聖祠)를 수리하고 제사 의식을 지내도록 지시했다.
  조선 시대 유교를 따르며 제후는 천제를 지낼 수 없다는 논리에 따라 조선 세조 대에 원구제를 폐지했다. 그러나 정조는 이 점을 아쉬워하며 원구단(圓丘壇 : 천자가 하늘에 제사를 드리는 제천단) 제천 기능의 회복을 위해 노력했다. 특히 선도의 제천 전통을 우리 고유의 전통으로 평가하며, 유교적 원칙을 따르면서도 천신제, 풍운뇌우제, 사직 기곡제를 강화함으로써 천제의 기능을 회복하려 노력했다.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과 정경희 교수는 국학원 143회 국민강좌에서 “조선 사회의 중흥기라 부를 만큼 정치·경제적으로 안정기였던 당시에 정조는 왕권 강화 이상으로 전반적인 개혁정치와 한국선도의 부활을 통해 물질적 안정을 넘어 문화·사상적으로 중국에서 벗어난 탈사대주의의 자주적 조선을 바랬던 것으로 보여 현재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준다”고 말했다. 
                                                          <참고문헌>
  1. “정조(正祖)”, 네이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1.8.
  2. 전은애, “정조가 '단군'에 관심을 둔 이유는?”, 브레인미디어, 2015.6.10일자.   
                                                         <필자 약력>
.1950년 충북 괴산군 청천면 삼락리 63번지 담안 출생
.백봉초, 청천중, 청주고, 청주대학 상학부 경제학과를 거쳐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과에서 “한국 인플레이션 연구(1980)”로 사회교육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UBE) 국학과에서 “태안지역 무속문화 연구(2011)"로 국학박사학위 취득
.한국상업은행에 잠시 근무하다가 교직으로 전직하여 충남의 중등교육계에서 35년 4개월 동안 수많은 제자 양성
.주요 저서 : 『대천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아우내 단오축제』,『흔들리는 영상』(공저시집, 1993),『저 달 속에 슬픔이 있을 줄야』(공저시집, 1997) 등 4권.  
.주요 논문 : “천안시 토지이용계획 고찰”, “천안 연극의 역사적 고찰”, “천안시 문화예술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항일독립투사 조인원과 이백하 선생의 생애와 업적”, “한국 여성교육의 기수 임숙재 여사의 생애와 업적”, “민속학자 남강 김태곤 선생의 생애와 업적”, “태안지역 무속문화의 현장조사 연구”, “태안승언리상여 소고”, “조선 영정조시대의 실학자 홍양호 선생의 생애와 업적”, “대전시 상여제조업의 현황과 과제”, “천안지역 상여제조업체의 현황과 과제”, “한국 노벨문학상 수상조건 심층탐구” 등 65편
.수상 실적 : 천안교육장상, 충남교육감상 2회, 통일문학상(충남도지사상), 국사편찬위원장상, 한국학중앙연구원장상, 자연보호협의회장상 2회, 교육부장관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문학 21> 신인작품상, 국무총리상, 홍조근정훈장 등 다수  
.한국지역개발학회 회원, 천안향토문화연구회 회원, 대전 <시도(詩圖)> 동인, 천안교육사 집필위원, 태안군지 집필위원, 천안개국기념관 유치위원회 홍보위원, 대전문화역사진흥회 이사 겸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 보문산세계평화탑유지보수추진위원회 홍보위원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역사칼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2024년 종교문화여행 치유순례 대한뉴스 2024-11-06 1,352
공지 2024세계개천문화대축제(10/3~10/9) 뭉개구름 2024-09-13 4,606
30 쉬샤오둥이 깬 쿵푸의 허상과 일본의 역사 왜곡 커발한 2020-01-13 3,193
29 역사 전쟁부터 지지 말자 (남창희 교수) 커발한 2019-08-18 2,265
28 역사전쟁과 러시아의 한국학 (박병환) 커발한 2019-08-14 1,921
27 운초 계연수선생을 죽음으로 몬 밀정 감영극 커발한 2019-08-14 3,956
26 日 역사교과서 또 왜곡-신라가 일본에 조공 주장 대산 2016-05-16 1,966
25 식민사학과 사이비 역사학 대산 2016-04-17 2,097
24 안정복의 생애와『동사강목』이야기 대산 2016-01-15 3,557
23 민족사학자 이종휘의 역사인식 대산 2016-01-11 2,734
22 정조의 생애와 단군 위상 제고 대산 2016-01-08 2,348
21 민족사학자 중산 박장현 선생의 생애와 업적 대산 2016-01-07 2,094
20 증산도 안경전 종도사의『환단고기』이야기 대산 2016-01-05 2,411
19 공주 단군성전 신상구 2014-08-10 7,675
18 아직도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하는 이유립 선생의 서글픈 사연 신상구 2014-08-10 7,178
17 대고려를 위하여 고뇌한 장수왕 장수왕 2014-02-01 9,715
16 광개토왕비 장수왕 2013-12-27 8,711
EnglishFrenchGermanItalianJapaneseKoreanPortugueseRussianSpanishJava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