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0 - 월간 대한사랑 4월
P. 40

화에서 역시 비슷한 문양이 출토되고, 이                   단군의 문화에서는 풍백(風伯)을, 지나문화
          들 문양이 도철문(饕餮文)에 영향을 준다는                  권에서는 하백(河伯)을 우선시했다는 차이

          것은 이미 학계에서 널리 연구가 되어 있                   점을 찾을 수 있다. 풍백은 바람의 신이자
          는 사실이다. 도철문이 한때는 도깨비 문                   하늘의 신인 것에 반해 하백은 강의 신이

          양으로 치우천황의 표상으로 연구된 적도                    자 땅의 신이다. 강의 신 하신(河神)은 흔히
          있었는데 이들 문양의 원형은 환웅과 세                    황하(黃河)의 수신(水神)을 말하기도 하며 고

          책사인 풍백, 우사, 운사의 표상이 아닐까                  대 중국인들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
          상상해 본다.                                  한 강의 신이다. 은나라 이후 하신(河神) 숭
            환웅이 풍백·우사·운사와 무리 삼천을                   배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으며 춘추시대와

          이끌고 내려왔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환웅                   전국시대에 지역 하천숭배가 매우 활발하
          다음의 지위를 가지고 있는 바람·비·구름                   였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이다. 반면, 우리

          의 주관자와 함께 내려왔다. 만주와 한반                   는 일관되게 하늘신을 최고신으로 여기며
          도는 편서풍의 영향권에 있고 농경사회를                    ‘하늘은 물을 내려주는 존재이자 숭배의
          기반으로 하는 우리 사회에서 날씨에 영향                   대상’으로 여긴다. 이러한 점 역시 동산취

          을 미치는 바람과 구름은 일조량과 강수                    유적에서처럼 천원지방과 동지의 일출 방
          량의 변화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때문                   향을 중시하는 유적 배치가 발견되는 이

          에 바람이 먼저 분 다음에 비가 오거나 눈                  유이기도 하다.
          이 오는 현상, 바람이 불고 나서 추워진다                    태양 혹은 하늘의 표상을 새기는 방법

          는 것은 경험적으로 알 수 있는데, 매일매                  역시 차이를 보인다. 하모도문화(태양 그림
          일 이를 관측하고 기록한 것에서부터 문                    의 채도, 태양숭배), 대문구문화(도자기 태양무늬,

          자와 천문관측의 역사도 시작되었을 가능                    태양조토템, 태양관측 기록, 태양숭배), 앙소문화
          성이 농후하다. 즉, 바람측정-날짜기록-                   (무덤에 북두칠성과 사신체계, 도자기 별그림-원시
          관측-일조량의 영향-농업에의 활용이 오                    적 별자리 체계) 지역의 고고천문유적은 주로

          랜 시간 일련의 과정으로 정보축적이 되었                   도자기나 무덤 같은 개별적 유물에 천문기
          다고 볼 수 있다. 바람과 구름과 비로 연                  록이 남아 있는 반면, 홍산문화나 하가점

          결되는 날씨를 형상화할 수 있는 것이 구                   하층문화의 고고천문유적은 집단의 대표
          름모양 옥기가 아니었을까?                           적인 장소에 천문학적 요소가 남아 있는

            더 나아가 굳이 풍사(風師)-우사(雨師)-운               것 역시 특징적이다. 우하량이나 동산취,
          사(雲師)로 쓰지 않고 풍백(風伯- 伯은 우두머리,             성자산 등의 제단을 진남북으로 배치하고

          맏이의 뜻이 있다)으로 쓴 데 대해서 환웅과                 입간측영의 장소가 유적에 있으며 천원지


          40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