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 - 월간 대한사랑 3월
P. 24
삼일절 특집 3)
3.1운동이 일어나게 된
배경과 사건들
글 윤덕현 기자
일본에 병탄을 당하고 10여 년의 세월이 흐른 뒤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하는 일이 벌어졌
다. 겨레가 하나 되어 비폭력 평화시위로 ‘대한독립만세’를 외친 것이다. 3.1운동을 계기
로 임시정부가 들어서며 독립운동의 중심이 되었다. 3.1운동은 독립운동의 분기점이 되
었고, 전 세계의 민족 운동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을사늑약(한·일 제2차 협약) 이후 주요 독립운동과 단체들
우리나라가 국권을 빼앗겼다고 실감한 것은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
었을 때다. 외교권 박탈을 명시한 을사늑약은 대한제국이 사실상 주권을
상실했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에 백성들은 울분을 토했고, 이 부당함을 바
로잡으려 했다.
이 을사늑약은 고종의 인장이 없어 무효논란이 일었다. 프랑스 공법학
자 레이는 <국제공법 1906년 2월호>에서 을사늑약의 무효를 주장하였다.
고종도 을사늑약이 체결되고 열흘 후, 헐버트를 통해 을사늑약이 무효라
는 긴급 전문을 워싱턴으로 보냈다. ‘대한독립’은 우리가 외교권을 일본에
게 양도한 적이 없다는 인식에서 출발했다.
국제연맹은 1935년 조약법에 관한 보고서를 내면서 역사상 효력이 없
는 조약 3개 중 하나로 을사늑약을 꼽았다. 국제연맹의 이 보고서는 1963
년 유엔 국제법위원회(ILC)의 “강제나 협박에 의한 조약의 비준, 승인, 수용
등은 무효”라는 보고서로 계승되었다. 을사늑약의 무효화가 중요한 또 다
른 이유 중 하나는 이 문제가 독도 문제와 결부되어 있다는 것이다. 을사
늑약이 무효화가 되면 일본은 독도를 불법 편입한 것으로 된다.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