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7 - 국제학술문화제-천부경/국제 분과
P. 47

『천부경』의 수리 철학적 해석  김태화




                                  『천부경』의 수리 철학적 해석


                 60)
                                                                                                 김태화*



                             Ⅰ. 서론
                             Ⅱ. 수리의 상식과 도상
                                 1. 수의 원형과 도상
                                 2. 원과 정사각형
                             Ⅲ. 『천부경』의 수리 철학적 해석
                                 1. 조화원리와 ‘이삼은 육’
                                 2. 수 6과 ‘힘의 작용’
                                 3. 10진법 수 체계
                             Ⅳ. 결론



                   【연구요약】 본 연구는 『천부경』 전체 구조와 관련이 깊은 수들을 일관성을 갖고 수리 철학적 해석
                   을 시도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대체로 동양 철학의 역(易)과 오행(五行)의 측면에서 연구했지만,

                   필자는 먼저 『천부경』 81글자를 기호학적인 의미 단락으로 구분하여, 7곱 개의 시퀀스로 나눈
                   후, 수학자로서 수리철학에 기초하여 『천부경』의 수를 도상과 연계하여 살펴보았다. 2장은 『천부

                   경』 해석을 위한 준비로, 2.1절에서는 수비학에 토대를 둔 기하학적인 수의 원형과 도상을 주목하
                   고, 2.2절에서는 이집트 삼각형 또는 피타고라스 삼각형과 관련이 깊은 고대 수학적 철학자의 관

                   점에서 원과 정사각형 사이의 관계를 살펴본다. 그리고 3장에서는 『천부경』의 전체 구조에 대한
                   수리 철학적 해석을 그 목표로 시퀀스 또는 그 일부 구절들의 유사성과 대비성을 서로 그룹 핑하여,

                   3.1절에서 셋의 조화원리와 구구단 셈법을, 3.2절에서 수 6의 특성을 살펴보고, 마지막 3.3절에
                   서는 『천부경』의 전체 구조가 십진법의 수 체계로 자연수를 생성함을 밝힌다.

                   【주제어】 천부경, 수리철학, 역과 오행, 조화원리, 십진법





                 Ⅰ. 서론



                   『천부경(天符經)』은 배우지 않고도 누구나 자연에서 쉽게 알아차릴 수 있는 1에서 10까지의 수

                 가 조합된 메타언어로 번역되어 전해온 경전이다. 이러한 메타언어로 기술된 글은 연구자의 시각
                 에 따라 다의적 해석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정확한 해는 없고 오직 근사해만 찾을 수 있기 때문이

                 다. 천재 시인 이상(李箱)이 쓴 초기 시도 『천부경』과 마찬가지로 띄어쓰기를 무시하고 메타언어로

                 60) 부경대



                                                                                                      47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