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9 - 국제학술문화제-정신문화 분과
P. 279

최치원 「난랑비서」의 風流에 대한 고찰  이주희




                          최치원 「난랑비서」의 ⾵流에 대한 고찰


                 40)
                                                                                                 이주희*



                             Ⅰ. 머리말
                             Ⅱ. 韓流의 원동력 탐구의 방향
                             Ⅲ. 한국의 고유사상으로서의 風流
                             Ⅳ. 風流의 의미와 내용
                                 1. 風流의 의미
                                 2. 風流의 내용
                             Ⅴ. 맺음말



                   【연구요약】 본 연구는 76자의 단편으로 전해지는 최치원의 「난랑비서(鸞郞碑序)」를 중심으로 풍류
                   (風流)에 대해 고찰한 논문이다. ‘멋스럽고 풍치가 있는 일 또는 그렇게 즐기는 행위’라는 뜻은 단지

                   일면만이 남아 현대에 전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최치원이 「난랑비서」에 남긴 풍류는 국유현묘지
                   도(國有玄妙之道)로써 한국의 고유한 사상체계임을 알 수 있다. 하여 이 논고에서 역사의 맥을 소급
                   하면서 역사적 실체 위에 풍류의 발원지를 찾고자 하였으며, 풍류의 의미를 새롭게 정의하고, ‘현

                   묘지도(玄妙之道)’와 ‘실내포함삼교(實乃包含三敎)’ 그리고 ‘접화군생(接化群生)’에서 발견할 수 있는

                   풍류의 속성을 최대한 드러내고자 하였다.
                   【주제어】 최치원, 난랑비서, 풍류, 고유사상, 한류.





                 Ⅰ. 머리말




                   ‘국유현묘지도 왈풍류(國有玄妙之道 曰風流)라!’ 최치원은 「난랑비서(鸞郞碑序)」에서 신라에 민
                 족 고유사상이 존재함을 명백히 선언하고 있다. ‘풍류(風流)’는 역사성이나 사상적 맥락에서 볼 때

                 도 중요한 위치에 있다. 풍류문화가 신라에서 발원한 것인지, 아니면 상고대까지 소급할 수 있는지
                 에 관한 역사성도 고찰해볼 일이며, ‘실내포함삼교(實乃包含三敎)’로 볼 때 외래사상인 유불선이

                 유입되기 이전 이미 유불선의 핵심적 요소를 자체 내에 지니고 있다는 것은 사상의 탁월함과 우수
                 성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하여 필자는 본 연구에서 「난랑비서」를 중심으로 ‘국유(國有)’와 ‘『仙史』’를 통해 풍류의 역사성
                 을 논증하고, ‘현묘지도(玄妙之道)’와 ‘실내포함삼교(實乃包含三敎)’ 그리고 ‘접화군생(接化群生)’



                 40) 순천향대



                                                                                                    279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