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3 - 국제학술문화제-정신문화 분과
P. 183

한국 선사암각화에 반영된 공동체 의식  박선식



                   1984)

                  이하우, 「韓國 先史岩刻畵의 祭儀表現에 關한 硏究」, 慶州大學校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이하우, 「반구대 암각화의 내용과 제작층별 의미」『대곡천 암각화군 上』종합조사연구보고서, (대
                   전:국립문화재연구소, 2019)
                  송화섭, 「반구대 암각화 도상의 민속학적 의미」, 『대곡천 암각화군』上, 종합조사연구보고서, (대

                   전:국립문화재연구소, 2019)

                  장석호, 「동북아시아 속의 대곡리 암각화」, 『북방사논총』5호, (서울:고구려연구재단, 2005)
                  김현권, 「대곡리암각화 인물상의 의미와 도상 양식」, 『울산 반구대 대곡리 암각화』, (서울:한국미
                   술사연구소, 2014)

                  호세 베렝구어&마티아즈 스트레커, 「칠레와 페루의 선(先)스페인시대 바위그림에 표현된 고래

                   및 고래목(目) 동물의 도상」, 『고래와 암각화』(2017년 반구대암각화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울사:울산암각화박물관, 2017)

                  박선식,「弘益人間論의 字典的 의미와 문화적 함의」『‘홍익인간’의 바른 뜻 찾기 학술발표회)』자료
                   집, (서울: 사단법인 한배달, 2021)

                  박선식, 「서북한지역 출토 ‘구련문시문토기’에 반영된 문화상」『서울文化』20집, (서울: 서울문화
                   사학회, 2020)

                  박선식, 「서북한지역 출토 구련문시문토기의 문화적 의미」『단군학회 2019년 가을세미나 발표논
                   문집』, (2019)

                  박선식, 「동북아 상고읍락사회 내 政敎建築物의 조영양상과 ‘九黎’사회의 변동에 따른 ‘朝鮮’大邑
                   落연합체제 내 政敎文化의 변화」『태백진훈과 동북아상고문화』, (서울: 도서출판 동강, 2019)

                  박선식, 「동북아 상고사회내 ‘알유’세력의 擡頭와 强大邑落 軍事首長들의 상호간 武力對應」, 『학
                   예지』22집, (서울: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2015)

                  박선식,「단군세계상탐기에 관한 시론적 검토」『한국사상과 문화』제102집, (서울: 한국사상문화
                   학회, 2020)

                  심상교, 「동해안풍어제의 원형미학적 연구」『공연문화연구』41권0호, (서울;한국공연문화학회,
                   2020)

                  국립문화재연구원,「언어학, 고고학, 고대 DNA분석을 통한 동아시아 선사 문화의 학제간 연구」
                   『중국고고학동향』, (2022년1호), 국립문화재연구원 온라인배포자료.

                  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第十二冊, (서울; 서울신문사 출판국, 1981)

                  盖山林, 「岩畵社會功能」『中國岩畵學』, (中國:書目出版社, 1995)
                  盖山林, 『陰山岩畵』, (北京:文物出版社, 1986)








                                                                                                    183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