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8 - 국제학술문화제-동북공정 분과
P. 208
동북공정 분과
국의 동북공정에 이처럼 순진하게 대처하는 우리 외교부 관료들의 자세가 문제인 것 같다. 2004
년 1월에 외교부 박흥신 문화외교 국장은 “중국 정부차원에서 역사왜곡 의도를 갖고 시작한 것으
로 판단하기 어렵다”고 해서 빈축을 샀다. 2003년 12월 24일에 이창동 문화관광부 장관 주재로
박흥신 외통부 국장, 유홍준 문화재청장, 임효재 교수 등이 참석한 중국의 동북공정 대책회의가
열렸지만 정부 고위 관계자의 대세를 인정하자는 태도 등 우리 정부가 동북공정에 제대로 대응하
지 못했다고 임효재 교수가 밝혔다. 98) 이 대책회의에서 문화재청은 중국의 동북공정 의도를 7개
항을 분석하기도 하였지만 적극적이고 강력한 조치는 없었다. 더구나 중국의 역사침탈을 막기 위
해 설립한 ‘고구려연구재단’과 ‘동북아역사재단’의 미온적인 대중국정책과 사대주의적 행태는 마
땅히 비판받아야 할 것이다. 심지어 중국정부의 대변인 노릇을 할 정도였으니, ‘동북아역사재단’
의 해체론이 제기될 만하였다.
3. 주체적이고 정치 세력에 영향 받지 않은 연구단체를 만들어야 한다.
이처럼 중국의 동북공정의 의도를 이미 파악하고도 적극적인 대처를 하지 않았기에 중국은 동북
공정과 일련의 후속 공정을 지속할 수 있었다. 특히 정치 및 학계, 언론계는 이와 같은 국가적 핵심이
익에 대해 손실이 올 경우 과감하고 적극적인 행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중국의
역사침탈을 막을 수 없었던 이유는 중국을 의식한 친중파들의 책임도 있을 것이다. 동북공정의 심
각성을 알고 있으면서 적극 대처하지 않는 정부 관료들의 의식 태도는 위정자인 대통령의 행보에
달려있기 마련이다. 고구려사 왜곡 사건이 터진 후 두 해가 지난 2006년 9월 10일 핀란드 헬싱키의
아시아유럽 정상회의에서 노무현 대통령은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에게 동북공정의 추진에 유
감을 표시하였다. 이에 원자바오 총리는 관련 학술기관에 양국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조치를 하겠다. 99) 고 했지만 근 진전이 없었고 계획했던 기한을 넘겨 동북공정을 추진했다.
당시 중국의 동북공정 추진에 대응할 수 있는 단체를 만들었는데, 단체 명칭이 ‘고구려연구재단’
이었다. 처음 명칭 결정부터 말이 많았다. 왜냐하면 중국의 동북공정 목적이 고구려사 왜곡에만
있는 것이 아니고 우리의 고대사와 간도영유권의 확보에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을 의식하
여 고구려 연구재단으로 명칭을 바꾸었다고 하였다. 2004년 3월에 발족하였으며, 김정배 이사장
이 취임하였지만 고대사를 전공해서인지 모든 사업이 고구려사에 치우친 면이 많았다. 그 뒤로 만
든 동북아역사재단은 2006년 9월에 설립되어 김용덕 이사장이 취임하였다. 학술회의 개최 등 광
범위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북방영토 분야 특히 간도문제에는 자제하고 매우 소극적인
자세를 보였다. ‘독도연구소’는 만들었지만 ‘간도연구소’는 없다는 것은 본말이 전도된 처사인데,
중국의 눈치 보느라 ‘간도연구소’를 못 만든 것이며, 아니면 외통부에서 허가가 안 나와서 만들지
98) 문화일보, 2006. 9.5.
99) 한국일보, 2006. 9.11.
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