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낙랑군 이동(교치)은 근거 없음
ㅇ 이동설:
미천왕이 313년 낙랑군을 314년 대방군을 점령하여 고구려의 영토로 하였고 낙랑군은 어딘가로 이동되었다
근거로 삼국사기와 자치통감의 다음 기사를 제시한다.
ㅇ 이동설의 무근거성
1. 『삼국사기』 「髙句麗本紀」
美川王 十四年, 冬十月, 侵樂悢郡, 虜獲男女二千餘口. 美川王 十五年秋九月 南侵帶方郡.
낙랑군을 침략하여 남녀 2천명을 포로로 잡아왔다, 대방군을 침공했다
이동설은 삼국사기 미천왕의 낙랑 대방 공격기사를 근거로 하나, 기사에 고구려가 점령했다고 쓰여 있지는 않다.
2. 『자치통감』 권88 진기10 효민황제(孝愍皇帝) 상 건흥(建興) 원년 夏,四月 --- 王浚使棗嵩督諸軍屯易水,召段疾陸眷,欲與之共擊石勒。疾陸眷不至,浚怒,以重幣賂拓跋猗盧,並檄慕容廆等共討疾陸眷。猗盧遣右賢王六修將兵會之,為疾陸眷所敗。廆遣慕容翰攻段氏,取徒河、新城,至陽樂,聞六修敗而還,翰因留鎮徒河,壁青山。初 --- 遼東張統據樂浪ㆍ帶方二郡,與高句麗王乙弗利相攻,連年不解. 樂浪王遵說統帥其民千餘家歸廆,廆爲之置樂浪郡,以統爲太守,遵參軍事.
왕준은 조숭을 보내 군사들을 독려하면서 역수에 주둔하게 한 후 단질육권을 불러 그와 같이 석륵을 칠 생각이었다. 그런데 질육권이 오지 않자 왕준은 화가 나서 거액으로 탁발의로를 매수하는 한편 모용외 등에게 격문을 보내 질육권을 함께 토벌할 것을 요청하였다. 탁발의로는 우현왕 육수를 파견하여 병력을 거느리고 그와 회동하게 했으나 질육권에게 패하였다. 모용외는 모용한을 파견하여 단씨를 공격하고 도하, 신성을 얻고 양락에 이르렀으나 육수가 패했다는 소식을 듣고 귀환하고 모용한은 그 일로 남아 도하의 벽청산에 주둔하였다. 당초, -- 요동인 장통은 낙랑, 대방 두 군에 근거지를 삼고 있었는데, 고구려의 왕 을불리와 서로 공격하면서 해가 바뀌어도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낙랑인 왕준의 설득으로 (장통이) 그 백성 1,000여가를 이끌고 모용외에게 귀순하니 모용외가 그를 위하여 낙랑군을 설치해주고 그 일이 계기가 되어 장통을 태수로 삼고 왕준에게는 군사관련 참모를 맡게 하였다.
1) 初 이하의 문장은 이 사건에서 등장하는 왕준과 모용외와 관련된 인물들을 설명하는 문단으로 313년 이전에 일어났던 일. 편년체 역사서의 경우 初(당초)에 이어지는 문장은 편년기사의 배경이나 원인, 이미 발생한 관련된 사실을 편년기사에 부기하여, 편년기사의 내용을 풍부하게 하고 관련사실을 통합하여 기술함으로써, 편년체 역사서의 단점을 보완하려는 것
2) 지금의 평양에서 장통이 1천여 가를 이끌고 고구려를 지나 강단유사사학이 주장하는 어딘가로 가는 것은 불가능 당시 사람은 국가의 중요자원으로 전쟁에서 승리하면 사람을 끌고 오는 것이 주요 전과, 고구려가 놔두지 않음
3) 이 기사 자체가 낙랑군 평양설을 부정하고 있다. ‘요동의 장통’이라 하여 낙랑군과 대방군이 요동에 있음을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동설은 위 『자치통감』의 기사를 ‘요동 출신의 장통’이라 날조하여 해석]
3. 『진서(晉書)』에 의하면 낙랑군 점령자는 모용외
1) 모용외가 320년에 동진으로부터 안북장군·평주자사(安北將軍平州刺史)를[『晉書』 「載記 慕容廆」],
2) 321년에는 도독유평이주동이제군사를 제수받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어[『晉書』 「帝紀」 中宗元帝]
3) 낙랑군 점령자는 고구려 아닌 모용외
4. 『진서(晉書)』 「지리지」는 낙랑군이 후한말 공손도 이래 위치 변화 없다고 함
[『진서』 「지리지」 平州。案禹貢冀州之域,於周為幽州界,漢屬右北平郡。後漢末,公孫度自號平州牧。及其子康、康子文懿並擅據遼東,東夷九種皆服事焉。魏置東夷校尉,居襄平,而分遼東、昌黎、玄菟、帶方、樂浪五郡為平州,後還合為幽州。及文懿滅後,有護東夷校尉,居襄平。咸寧二年十月,分昌黎、遼東、玄菟、帶方、樂浪等郡國五置平州。統縣二十六,戶一萬八千一百。].
생각컨대 우공(禹貢)에서 기록하기를 평주는 기주(冀州)의 영역인데, 주국(周)에서 유주(幽州)의 경계로 했으며, 한국(漢)때에는 우북평군(右北平郡)에 속했고, 후한(後漢) 말엽에는 공손도(公孫度)가 스스로 평주목(平州牧)이라고 불렀다고 했다. 이에 그의 아들 공손강(公孫康)과 공손강의 아들 공손연(文懿)이 요동을 병합하고 그곳에 의거하니 동이 9종이 모두 복속하였다. 위국(魏)에서는 동이교위(東夷校尉)를 설치하여 양평(襄平)에 거하였고, (이를) 나누어 요동(遼東) 창려(昌黎) 현토(玄莵) 대방(帯方) 낙랑(樂浪) 등 5개의 군을 평주(平州)로 하였고 후에 유주(幽州)와 합하였다. 이에 공손연(文懿)이 망한 후에 호동이교위(䕶東夷校尉)로 하여 양평(襄平)에 거하였다. 함녕(咸寧)[1] 2년 10월에 나누어 창려(昌黎) 요동(遼東) 현토(玄莵) 대방(帯方) 낙랑(樂浪) 등의 군국(郡國) 5으로 평주(平州)를 설치하였다. 현은 26이고 가구수는 1,8100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