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5 - 월간 대한사랑 24년 2월호 (3호)
P. 65
2024. 02
엉뚱한, 너무나도 엉뚱한 철령위 위치
그런데 여기서 한국사에서 풀리지 않은 SF소설이 등장한다. 현재 한
국사에서는 철령위의 위치를 강원도 원산만 지역으로 설정해 놓고 있
다. 고려 당시 철령위 문제를 군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출동한 최영,
이성계는 강원도가 아닌 요동으로 향했다. 앞뒤가 맞지 않은 것이다.
이렇듯 공상 소설처럼 만들어진 강원도 철령위는 많은 의문 속에서도
대한민국의 국민들 국사교과서에 버젓이 등장하며 입시문제로 출제되
곤 하였다.
철령위 위치에 이의를 제기하다
이 철령위 위치 문제에 대해 정식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나선 학자가
복기대(현 인하대 고조선 연구소)였다. 2010년 「철령위 위치에 대한 재검토」
(『선도문화』 9호, 297-325쪽)라는 논문이 발표되었다. 그는 이 논문에서 현
재 강원도 철령위 비정에 대해 여러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그 중에서 눈
에 띄는 것이 명나라의 철령위 설치 목적과 위치와의 연관성이다.
리베르 고등학교 한국사의 철령위 위치 미래N 역사부도의 철령위 위치
63
63
0202월간대한사랑_3호_본문.indd 63 2024-02-05 오후 5:2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