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4 - 국제학술문화제-정신문화 분과
P. 254

정신문화 분과


                 민족으로 공멸共滅하고 말 것이다. 최근 춘천중도유적지 개발과 가야사 연구와 관련한 정부의 무

                 책임에서 보듯이 우리 한국사를 관통하는, 모든 국민이 공감하는 정신사관 확립이 절실한 시점이
                 되었다.

                   본 연구자는 「단재학당」 교장으로서 한국근대사학을 선도한 단재의 낭가사상郎家思想을 탐색
                 하면서 한민족의 정신문화의 근원은 무엇이며, 민족주체사상과 낭가사상의 핵심은 무엇인지? 바

                 른 역사 정립을 위한 승계방안은 없을까? 등에 대한 의문점을 갖게 된 것이 본 연구를 수행하는
                 배경이 된다. 이러한 의문점을 해소하기 위해 정신문화와 주체사상의 개념, 민족정신의 발전과정,

                 정신문화의 정립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단재 신채호의 고조선 인식과 민족의식, 민족주체
                 사상과 낭가사상의 발굴, 낭가사상이 한국정신문화에 미친 영향 등을 조사·분석하여 한민족 정신

                 문화를 확산할 수 있도록 낭가사상의 계승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 연구범위 및 방법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범위로 시간적 범위는 단군이 신교

                 문화를 세운 고조선부터 현재까지로 하고, 공간적 범위는 배달민족의 강역으로 하였으며, 내용적
                 범위는 한민족의 정신문화와 낭가사상으로 제한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접근방법은 역사적 접근

                 방법으로 하고, 조사방법은 인터넷조사법과 문헌조사법을 병행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선행연
                 구에 대한 문헌과 일정 사례를 토대로 분석하는 기술적記述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제1장에서 서론으로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범위 및 방법, 선행연구 동향을 검토하
                 여 본 연구의 차별성을 제시한다. 제2장에서는 한민족의 정신문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서 정신문

                 화와 주체사상의 개념, 민족정신의 생성과 발전, 정신문화 정립 및 계승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여
                 단재 신채호의 민족주체사상과 낭가사상을 분석하는 이론적 토대로 삼는다. 제3장에서는 단재 신

                 채호의 민족의식과 고조선 인식, 낭가사상의 형성 과정, 민족주체사상과 낭가사상의 발굴, 낭가사
                 상이 한국정신문화에 미친 영향 등을 분석한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제3장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정리, 해결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민족주체사상과 낭가사상의 평가와 한계를 도출하고, 민족주체
                 사상 확립을 통한 낭가사상 교육 방안과 한민족 정신문화 계승 및 세계화 추진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연구내용을 요약하고, 연구의 한계성과 향후 연구 과제를 제
                 안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고자 한다.



                     3. 선행연구 동향 검토




                   지금까지 학계에서 한민족의 정신문화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 졌지만, 신채호가 발굴한 낭
                 가사상의 승계와 직접 관련 있는 연구는 많지 않다. 2022년 4월 20일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254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