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 국제학술문화제-동북공정 분과
P. 19
율곡 「기자실기」의 화이론 분석과 기자동래설의 문화공정 대응논리 구축 연구 유성선
(논문)
김유리, 「최근 대만 역사교과서의 한국사 인식 변화-101과강 『선수역사(選修歷史)』와 108과강
『역사(歷史)2』 비교 분석」, 『동북아역사논총』71, 동북아역사재단, 2021.
김정배, 「동북아의 비파형동검문화에 대한 종합적 연구」, 『국사관논총』, 2000.
남의현, 「중국의 『中朝邊界史』를 통해 본 한중국경문제-『중조변계사』에 대한 비판과 14세기 이
전 ‘鴨綠水[鴨淥江]’ 위치 재고」, 『인문과학연구』57,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남의현, 「원말 · 명초 한중간의 요동국경지대연구-東寧府, 東寧路, 東寧衛와의 상관성을 중심으
로-」, 『인문과학연구』61,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문치웅, 「『사기』 「오제본기」에 나타나는 인물관계 기록이 문제점」, 『동아시아고대학』40, 동아시
아고대학회, 2015.
朴光用, 「箕子朝鮮에 대한 認識의 變遷」, 『韓國史論』6, 서울대 국사학과, 1980.
박경철, 「古朝鮮 對外關係 進展 衛滿朝鮮과 東北亞」, 『歷史論叢』, 2014.
박대재, 「고조선 이동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동북아역사논총』, 2017.
박대재, 「箕子 관련 商周靑銅器 銘文과 箕子東來說」, 『선사와 고대』32, 한국고대학회, 2010.
박선미, 「戰國 秦 漢初 화폐사용집단과 고조선의 관련성」, 『북방사논총』7, 2011.
박준형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서영대, 「단군신화의 역사적 이해」, 『한신인문학연구』 , 2001.
서영대, 「단군 관련 구전자료의 검토」, 『고조선단군학』, 2009.
서영수, 「광개토태왕의 패려 정벌과 요동순수 광개토왕비의 재조명」, 『동북아역사재단』, 2013.
宋錫球「栗谷思想과 民族主體性」, 『栗谷學報』(15호), 栗谷學會, 2000.
송호정, 「고조선의 위치와 중심지 문제에 대한 고찰」, 『한국고대사연구』, 2010.
오대양, 「요동과 길림 서북한지역 청동기시대 묘제의 전개양상 검토」, 『백산학보』, 2019.
禹景燮, 「宋時烈의 華夷論과 朝鮮中華主義의 成立」, 『震檀學報』(101), 진단학회, 2006.
이기동, 「북한에서의 단군연구와 그 숭앙운동」, 『한국사 시민강좌』제27집, 일조각, 2000,
이유진, 「율곡 기자실기의 연구」, 『율곡사상연구』(제8집), 율곡학회, 2004.
이후석, 「기원전 세기대 요서지역이 문화 변동과 그 의미 동대장자유형과 세형동검문화의 관계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28, 2015.
장우순.문치웅, 「고대사에 대한 중국문헌의 역사 인식 변화」, 『고조선단군학』37, 단군학회,
2017.
전진국, 「단군신화의 불교적 윤색과 ‘단군’명칭에 관한 학술사적 검토-白鳥庫吉의 연구를 중심으
로」, 『한국고대사탐구』40,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2.
조법종, 「2000년대 이후 중국학계의 고조선 연구」, 『선사와 고대』54, 한국고대학회, 2017.
조원진, 「기자조선 연구의 성과와 과제」, 『단군학연구』20, 200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