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 - 국제학술문화제-가야사/환단고기 분과
P. 24

가야사 분과 1


                 참고문헌




                   【원전】

                  『三國史記』, 『三國遺事』, 『大東地志』, 『東史綱目』


                   【단행본】

                  강평원, 『(역사의 재발견)임나가야』 (뿌리출판사, 2005)
                  천관우, 『人物로 본 韓國古代史』 (正音文化社, 1982)

                  김태식, 『미완의 문명 7백년 가야사』(푸른역사, 2002)

                  신채호, 『조선상고사』 (동서문화사, 1977)
                  김인배․김문배, 『임나신론, (고려원, 1995)
                  이병선, 『임나일본부는 대마도에 있었다, (아세아문화사, 2006)

                  _____, 『일본고대지명연구, (아세아문화사, 1996)

                  _____, 임나국과 대마도, (아세아문화사, 1987)
                  석진환, 신라 석씨 왕들의 이야기, (석씨대종회, 2020)

                  안경전, 환단고기 역주, (상생출판, 2012)
                  세계환단학회, 세계환단학회지 5권 1호, (상생출판, 2018)

                  연민수 외, 역주 일본서기, (동북아역사재단, 2015)
                  小田省吾, 朝鮮史大系, (朝鮮史學會, 1928)

                  조선사학회, 朝鮮一般史, (朝鮮史學會, 1924)
                  조선사학회, 朝鮮史講座 제 10호 ,(조선사학회, 1923)

                  청구학회, 靑丘論叢(영인본), (경인문화사, 1977)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조선전도,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6)

                  이계황 외, 기억의 전쟁,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3



                   【학술지 및 논문】
                  김창겸, 「强首와 新羅 社會」 『진단학회』 (2006)

                  백승옥, 「‘임나가라(任那加羅) 종발성(從拔城)’과 고대 부산」 『항도부산 40』권(2020)
                  이병선, 「광개토왕비문(廣開土王碑文)의 「임나가라(任那加羅)」고(考) -KBS의 「가야(伽倻)흥망의

                   블랙박스」를 비판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0)
                  이희진. 「임나가라(任那加羅)의 위치에 대한 고찰」 『학산 김진봉교수 정년기념특집호, 忠北史學,

                   충북대학교 사학회』 (2000)





                 24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