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1 - 월간 대한사랑_10월
P. 61

2024. 10



                      선독립단 학교를 설립하였다. 이 무렵에도 직접 의병 훈련에 참여하였다. 아울러
                      신빈 영릉에도 조선독립단 학교 분교를 두어 항일운동가 양성에 전력을 다하였

                      다. 조선독립단은 그의 후원 아래 큰아들 유돈상이 중심이 되어 결성된 한중연합
                      군 180여 명의 규모였다.



                      꿈을 이루지 못하고

                        그러나 1935년 6월 맏아들 돈상이 항일투쟁을 하다가 일경에게 체포되었다.
                      당시 유돈상은 1928년에 귀국하여 강원도 춘천, 충북 제천 등지에서 민족교육

                      을 실시하는 한편 군자금을 모집하여 만주 지역 독립운동 단체를 지원하기도 하
                      였다. 1931년 다시 만주로 건너가 무순에서 독립단을 재조직하여 활동하였다.

                      그러나 1935년 일제의 급습으로 붙잡혀 모진 고문 끝에 그해 7월 19일 42세를
                      일기로 사망하고 말았다.
                        그 충격을 이기지 못한 것일까? 식음을 전폐한 그는 맏아들이 세상을 떠난 지

                      11일 뒤인 8월 1일 그 뒤를 따랐다. 그의 나이 만 일흔다섯, 정든 고향을 떠나 만
                      주로 망명한 지 24년째 되던 해이다.



                      의병장 윤희순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윤희순은 국내에서는 의병 투쟁을, 국권 피탈 후 만주로 망명하여서는 독립군

                      과 함께 30여 년간 항일투쟁을 벌였다. 여성 의병대를 조직하고 탄약 제조소를
                      운영하는 등 적극적 의병 투쟁을 하고, 여성들이 항일투쟁에 나서게 하는 계몽운
                      동에서 큰 역할을 하였고, 노래와 경고문을 지어 선무(宣撫) 활동에도 앞장섰다.

                        그러나 이런 윤희순에 대한 예우는 소홀해 보인다. 대한민국 정부는 1983년
                      그에게 건국훈장도 아닌 ‘대통령 표창’을 추서했다. 1990년 상훈법 개정으로 건

                      국훈장이 3개 등급인 대한민국장, 대통령장, 국민장에서 5개 등급인 대한민국
                      장, 대통령장, 독립장, 애국장, 애족장으로 확대 재조정되었는데, 이때도 최하등
                      급인 애족장을 받았다. 차후라도 올바른 예우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61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