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1 - 국제학술문화제-동북공정 분과
P. 101

세종대왕의 사군육진과 삼수부 · 갑산부   최규흥




                         세종대왕의 사군육진과 삼수부 · 갑산부


                 1)
                                                                                                 최규흥*



                             Ⅰ. 서론
                             Ⅱ. 세종대왕의 육진과 두만강의 위치 연구 내용
                             Ⅲ. 고지도 분석을 통한 의주부, 삭주부, 창성, 벽동의 위치 연구
                             Ⅳ. 이산, 위원의 위치 연구
                             V. 강계부 고지도 분석과 세종대왕의 사군 위치
                             VI. 삼수부 고지도 분석
                             VII. 갑산부 고지도 분석
                             VIII. 백두산의 위치 탐구; 간도 협약 때 간도 지역 일본 영사 지국
                             IX. 결론



                   【연구요약】 우리는 세종대왕 때 사군육진을 설치하여 외적을 막았고 그 중 육진의 위치가 두만강
                   유역에 있다고 배웠다. 백두산도 세종대왕 때의 백두산인지 아닌지 의심하지 않는다. 대동여지도

                   나 조선조의 함경도 고지도에는 백두산과 장백산이 서로 다른 곳에 있다.
                   세종대왕 때 사군육진은 현재 한반도에 하나도 없다. 백두산도 한반도에 없다. 육진이 있었던 두만

                   강은 수분하(중국 내 옛 두만강 명)+레카라즈돌나야(Recka Razdolnaya) 강(러시아 내 옛 두만
                   강 명)으로 강이름이 바뀌어 있다. 이 강변에 육진이 있었고 황자파, 안원, 의전 등 18개의 역참(驛

                   站; 보(堡)와 함께 있음)이 있었다. 일제는 현 두만강(옛 石乙水+훈춘강) 유역에 육진의 부위의 위치
                   를 설정해 놓고 18개의 역참 중 아오지, 훈융, 서수라 3개의 역참의 위치를 설정하고 나머지 15개

                   의 역참 위치는 정하지 못 했다. 사군은 강계부 안에 있었고 강계부는 남북의 길이가 300리가 넘는
                   넓은 지역이었는데 강계부를 현 한반도 안으로 축소하여 설정하고 사군의 위치 중 자성 만 하나

                   정하고 나머지 3개의 군은 정하지 안했다. 후주의 위치도 정하지 않았다.
                   조선시대의 고지도의 압록강에는 의주, 삭주, 창성, 벽동, 이산(초산), 위원, 강계, 삼수, 갑산 9개
                   의 부(府)와 군(郡) 만이 그려져 있다. 일제는 지금의 반도사관을 만들기 위하여 이산(초산), 위원,

                   강계, 삼수, 갑산의 위치를 바꾸어 놓고 조선의 이산과 위원의 위치를 우시군으로 하였다. 우시군

                   은 조선 시대에 압록강 유역에 있는 부(府)나 군(郡)의 명칭이 아니다.
                   【주제어】 백두산, 장백산, 강계부, 이산, 위원, 자성, 우예, 여연, 무창, 압록강, 독로강, 자성강,
                   장진강, 만포진, 마제촌, 후강연, 만만천여유도가촌, 통화시, 삼수부, 인차외보, 라난보, 소농보,

                   신가을파지, 어면보, 구가을파지, 자작보, 강구보, 신방보, 묘파보, 별해진, 장진책,혜산진, 운파
                   관, 운룡, 진동, 허린, 동인, 호린, 웅이, 종포, 천봉사, 오씨천, 신대신수, 검천수, 비비포(飛非浦),


                 * 인하대학교



                                                                                                    101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