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5 - 국제학술문화제-가야사/환단고기 분과
P. 205

『훈민정음해례』와 『환단고기』의 유사성에 대한 고찰  송옥진



                 참고문헌




                   (원전)

                  『조선왕조실록』 『삼국사기』


                   (단행본)

                  김유범 외, 『쉽게 읽는 훈민정음』, 국립한글박물관, 2020.
                  단학회 연구부, 『환단고기』, 코리안북스, 1998.

                  안경전 역주, 『환단고기』, 상생출판, 2019.

                  이영호, 『국민보급형 훈민정음 해례본』, 달아실출판사, 2019.
                  최종환, 『삼일신고』, 지혜의 나무, 2000.
                  김위현·박성수 해제, 『조선사 번역, 해제』, 인문사, 2013.



                   (논문)

                  김만태,  「훈민정음  제자원리와  역학사상-음양오행론과  삼재론을  중심으로」,  『철학사상』45,
                   2012.

                  김슬옹, 「훈민정음 해례본 간송본의 역사와 평가」, 『한말연구』37, 2015.
                  김슬옹, 「성삼문의 훈민정음 관련 공로의 의미」, 『나라사랑』127, 2018.

                  김후련, 「한국문화에 내재된 음양오행 코드 분석-훈민정음을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
                   2013.

                  남창희·정성찬·송옥진, 「세조의 상고사서 수서령의 정치적 요인과 함의」, 『세계환단학회지』3,

                   2016.
                  문효근, 「훈민정음 제자원리 2」, 『세종학연구』8, 1993.
                  민영현, 「소도경전본훈에 나타난 三·一의 의미맥락과 천부경의 철학사상」, 『선도문화』3, 2016.

                  박성수, 「단군에 대한 인식 변천」, 『청계사학』13, 1997.

                  박성수, 「환단고기의 역사 세계와 고성 이씨 문중」, 『선도문화』11, 2011.
                  백두현, 「훈민정음 해례본의 텍스트 구조연구」, 『국어학』54, 2009.

                  송옥진, 「훈민정음 해례와 천부경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선도문화』32, 2022.
                  신민식, 「훈민정음 제자해의 상수철학과 하도상생 사계절 순환법칙의 고찰」, 『세계환단학회지』

                   8, 2021.
                  안병희, 「송석하 선생 투사의 ‘훈민정음’」, 『한국어연구』4, 2007.

                  전인건, 「훈민정음 해례본과 간송-외솔탄신 123돌 훈민정음 해례본-세계기록유산 등재 20돌 기





                                                                                                    205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