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4 - 국제학술문화제-가야사/환단고기 분과
P. 184

환단고기 분과 2


                 Ⅰ. 서론




                   한국영화 기생충이 영화의 본고장인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을 수상하고 뒤이은 오징어게

                 임이 전세계 넷플릭스 순위를 독점하면서 과히 한류가 현재 정점을 찍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
                 다. 음악에서도 BTS의 라스베가스 콘서트로 인해 온 도시가 그들을 응원하는 색으로 도배되었다

                 는 것에서 우리는 백범 김구선생의 소원이 이제 이루어지는 것일까 하는 상상을 하곤 한다. 한국
                 문화의 힘, 한류의 본질은 과연 무엇일까? 영화는 물론 음악과 소설등의 각종 K-시리즈에서 찾아

                 볼 수 있는 것은 보편적이면서도 가장 한국적인 정서이자 사상이다. 각종 K-시리즈 중 최고는 단
                 연코 한글, 즉 훈민정음이 될 것으로 보인다. 훈민정음은 1940년대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된 이

                 후 그동안 실록에 일부 언급되어 왔던 것에서 확대되어 그 구조적, 형식적, 내용적인 면에서의 독
                 창성과 뛰어남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훈민정음은 1943년 세종대왕이 창제하였다는 기록
                 이 분명하여 창제자와 날짜가 명확한 데다 창제원리까지 분명히 밝힌 세계 유일의 글자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해례본에서 보이는 제자원리의 바탕 철학을 먼저 살펴보고 『환단고기』 전반에

                 서 보이는 한국의 전통적, 고유한 사유체계를 『태백일사』「소도경전본훈」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
                 써 두 사서에 담긴 철학적 맥락의 유사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는 특히 중성의 제자원리에서 “인
                 간”이란 키워드로 극명하게 발견할 수 있으며 이 두문헌이 발견된 이후 현재까지 우리 사상사에

                 바탕이 되고 있는 고유사상의 중심철학이 무엇인지, 그것을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제언해 보고

                 자 한다.


                 Ⅱ. 훈민정음 해례본의 특징




                     1. 창제자와 창제시기가 명확한 유일한 문자




                   『훈민정음』은 현재 우리가 한글이라고 부르는 문자체계의 이름이기도 하지만 세종이 ‘훈민정
                 음’이라는 문자를 창제한 이후 이의 이론적 해설과 실증적 용례를 보여주는 훈민정음 해설서인 훈

                 민정음 해례본을 지칭하기도 하다. 세종은 1443년 훈민정음 28자를 창제하고 3년 후인 1446년
                 에는 집현전 학자들로 구성된 정인지, 최항, 박팽년, 신숙주, 성삼문, 강희안, 이개, 이선로가 해설

                 과 용례를 지어 스승없이 스스로 깨달을 수 있도록 책을 만들었다 하였는데 이 책이 바로 『훈민정
                 음 해례본』(이하 해례본)이다. 실록에서 보이는 총 11회의 ‘훈민정음’ 기록은 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시기까지 분명하게 기록하고 있느데 이것이 훈민정음에 대한 가장 원초적인 기록이라 할
                 수 있다.







                 184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