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 행사소식
[공지사항] [바른 역사관 정립을 위한 학술논문 공모] 선정 결과
[바른 역사관 정립을 위한 학술논문 공모]에 응모해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올해 응모된 논문 중에서 아래와 같이 50편의 논문이 연구비 수혜 대상 논문으로 선정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교수 및 박사학위자 중 최우수논문 1편, 우수논문 3편의 수상작이 선정될 예정입니다.
* 제출된 연구계획서에 기재된 메일주소로 제출논문에 대한 안내사항이 2월 7일에 공지됩니다.
제1주제 “가야=임나”설의 논리적 모순 규명
김oo, 가야사 고고학의 현재-일본민족주의 관점의 고고학 비판, 박천수 논문을 중심으로
배oo, 일본서기, 광개토대왕비 신묘년 기사의 바른 해석을 통한 임나일본부설의 논리적 모순 규명
서oo, 가락국기에 관한 새 해석
이oo, 삼국사기 강수열전 정역을 통한 임나가랑의 위치 비정
이oo, 해양대국 가야의 영토 조성 특성 및 외연 가능성-융합적 접근
조oo, 경남 함안 지역의 일본서기 지명에 근거한 임나 7국 중 안라국 비정에 관한 연구
채oo, 임나흥망사에 나타난 스에마츠 야스카츠의 한일 고대사 인식- 북한 초기...
제2주제 “동북공정과 문화공정 대응 논리 및 국제학계와의 공조방안”
길oo, 고구려 초기 도읍지 졸본 위치 인식에 대한 고찰
김oo, 뉴미디어 시대의 역사왜곡 대응전략- 한반도 역사 바로잡기를 위한 글로벌 실천방안
김o, 중국의 한국 역사문화 왜곡에 대한 대응방안 연구
민o,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말갈인식과 북방민족들 간의 관계사 정립이 동북아시아 역사체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oo, 고구려 건국연대 재정립에 의한 만주의 영토권 연구-문화영토론과 한사군의 위치를 중심으로
유oo, 율곡 『기자실기』의 화이론 분석과 기자동래설의 문화공정 대응 논리 구축 연구
이oo, 중국의 고대문명 역사공정에 대한 대응전략-하상주단대공정과 중화문명탐원공정을 중심으로
전oo, 발해의 강역에 대한 연구
정oo, 『사기』조선열전에 나타난 패수 위치 고찰
정oo, 강계부 고지도 분석과 세종대왕의 사군
채oo, 프랑스 청산역사에 비춰본 미완성된 한국의 친일파 청산 역사에 대한 해석
최oo, 세종대왕의 사군육진과 삼수부, 갑산부
최oo, 한국사 교과서 세종 육진의 위치 비정 비판
황oo, 주몽신화 ‘하백’의 관작명으로서의 실존성 소고
제3주제 “환단고기의 사료적 가치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융합적 연구”
박oo, 단군세기와 행촌이암
박oo, 동명왕 고두막한의 실존성 증명
송oo, 훈민정음 해례본과 환단고기의 연관성에 대한 시론
신oo, 환단고기 사료로 살펴본 살수, 선춘령, 공험진의 위치 고찰
지oo, 부여 분국과정 연구
최oo, 환단고기의 역사적, 사료적 가치 고찰
제4주제 “천부경, 삼일신고, 홍익인간 등 한민족의 정신문화 연구”
김oo, 일본고분 형태 분석을 통한 한일문화 친연성 고찰
김oo, 한민족 특유의 구전 전래놀이 노래 역사적 고찰
김oo, 최치언본 천부경의 해석과 영해박씨본 천부경의 해석에 관한 비교연구
김oo, 삼국유사 고조선 조에 있는 삼위태백의 의미에 대한 심층적 연구
김oo, ‘한사상’으로 본 ‘K-육아’의 원형 탐색
김oo·전oo, 계연수의 천부경 이해-『천부경요해』와 『천부경도해』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김oo, 삼신 신관이 동양철학적 해석-천부경 일자와 삼일신고 신 개념의 상수학적 연결고리
김oo, 수리철학으로 바라보는 천부경-수의 분석을 중심으로
박oo, 한국 선사암각화에 반영된 홍익인간 관념
박oo, 홍익인간의 바른 의미 찾기
양oo, 천부경과 정역
오oo, 삼일신화로 본 수운 최제우의 신선도
윤oo, 사상적 근원으로서의 천부경 고찰
윤oo, 천부경의 삼극사상
이oo, 한민족 정신문화의 원형 천부경의 새로운 해석
이oo, 즐거운 학문, 우리 정신의 철학적 복원
이oo, 최치원 『난랑비서』의 풍류에 대한 고찰
이oo, 고대의 삼신과 동학의 선
정oo, 고인돌에 대한 융합론적 분석을 통한 고대한반도 인류사 연구
정oo, 홍익인간과 광명사상의 관계와 광명사상의 표출 연구
조oo, 한민족 정신문화 계승 방안에 관한 연구 - 단재 신채호의 낭가사상을 중심으로
최oo, 우주생명학으로서의 『천부경』연구-시인 김지하의 생명사상을 중심으로
한oo, 역경과 환단고기의 상관성 연구-삼재와 삼신, 오행과 오제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