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회원가입

역사칼럼

새해가 밝았다…한국인의 '본모습' 찾아야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65) 한국인은 어떤 정체성을 가졌나

기원전 10세기 전후 생성된 우리 민족의 정체성
일제강점기와 분단을 거쳐 왜곡된 시각에 발목 
다음 세대 위해 우리의 본모습 찾아야
백두산 천지. 사진=윤명철 동국대 명예교수·우즈베키스탄 국립 사마르칸트대 교수

백두산 천지. 사진=윤명철 동국대 명예교수·우즈베키스탄 국립 사마르칸트대 교수

2021년 새해가 시작됐다.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 끝에서 이 ‘터’에서 새해를 맞이한 ‘나’ 또는 ‘우리’는 누구일까. 우리가 태어나기 전 새해를 맞이했던 사람들은 또 누구일까. 그들의 정체성이 궁금하고, 삶과 역사를 알고 싶다. 

우리는 ‘민족(民族)’이란 근대에 도입된 용어의 개념과 역할을 앞세우며 치열한 독립전쟁을 벌였다. 반면 남북이 분열됐고, 민족전쟁을 치렀다. 그런데 2000년 무렵부터는 단일민족 여부에 대한 논쟁이 일며 민족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들이 대두됐다. 여기에는 ‘세계화’와 ‘탈민족주의’란 세계사적 흐름과 중화민족주의의 산물인 ‘동북공정’이 등장한데다 북한의 주체사상이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 또한 이는 우리 역사에 대한 오해와 외부에서 비롯된 단어인 ‘민족’의 역사성, 정치성을 간과한 결과이다(윤명철, 《역사전쟁》) . 

새해가 밝았다…한국인의 '본모습' 찾아야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우리의 정체성은 청동기 시대가 성숙할 무렵인 기원전 10세기를 전후해 ‘원형’이 생성됐다. 이후 시대의 변화, 공간의 이동, 외부의 강력한 충격과 내부의 큰 사건들로 인해 약간의 ‘변형’들이 발생했다. 그러므로 혈연공동체, 언어공동체, 생활공동체였고, 수백년씩 유지한 정치공동체가 계승된 드문 집단이었다. 단일혈족은 아니었지만 내부 동질성의 비율이 높았던 역사공동체로 단일민족이었다. 긴 역사를 가진 우리의 정체성을 규명하고 이해하려면 1단계로 원형을 파악하고, 다음 단계로 해당 시대의 변형을 찾아야 한다.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역사칼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제 33회 군산전국학생전통예술경연대회’에서 대한사랑 예술단 ‘타미’, 중등부 🏅대상 수상 역사광복 2024-10-01 399
공지 2024세계개천문화대축제(10/3~10/9) 뭉개구름 2024-09-13 1,648
EnglishFrenchGermanItalianJapaneseKoreanPortugueseRussianSpanishJava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