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회원가입

역사칼럼

고구려의 천하관

고구려의 천하관과 중국의 천하관

고구려는 예로부터 천손 사상을 받들어 주변국을 복속하여 독자적인 천하관(天下觀)을 형성했다. 호태성왕비에는 천상을 다스리는 존재를 천제(天帝)로, 천하를 다스리는 존재를 천손(天孫)으로 정의하고, 천손이 다스리는 천하는 고구려가 중심이 되어 그 주변국들로 구성된다고 여겼다.

고구려의 천하관은 중국의 천하관과 달랐다. 중국은 춘추 시대에 하늘 아래 온 세상이 중국에 속해 있다고 보면서 중국 주변에 있는 여러 나라와 종족은 전부 오랑캐로 간주하는 천하관을 형성하였는데, 이것을 화이(華夷) 사상이라 부른다. 중국은 가운데라는 말인 중화(中華)로, 중국 밖의 주변국은 이적(夷狄, 오랑캐)으로 취급한 것이다. 중국은 고구려까지 중국의 천하에 속해야 한다고 여겼다.

그러나 고구려는 중국의 천하에 포섭되지 않고 오히려 독자적인 천하관을 형성했고, 그 내용도 달랐다. 중국은 「천하는 하나뿐」이란 논리로 세계 전체가 중국의 천하에 속해 있다고 보았지만, 고구려는 「세계에는 여러 개의 천하가 있다.」는 논리를 바탕으로 고구려의 천하는 그 여러 천하들 중 하나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고구려의 영향력이 실질적으로 미치고 있거나 미쳐야 한다고 여기는 범위의 지역이 곧 고구려의 천하라는 것이었다. 이는 현대인의 눈으로 볼 때 중국보다 상당히 발달한 천하관이었다. 고구려는 이런 세련된 천하관을 바탕으로 중국과는 공존하면서 자신의 세계인 동북아시아에서는 패권을 유지하고자 했다. 고구려는 중국에 대해 대등 의식을 가졌으므로, 중국의 황제와 고구려의 왕이 대등하다고 여겼고, 중국에 고구려 중심의 천하관을 요구하지도 않았다.

물론 고구려도 중국과 같이 화이 사상을 가지고 자국과 주변국을 구분했다. 백제를 「백잔(百殘)」으로, 신라를 「동이(東夷)」로 비칭한 것과, 「왕(王)」의 칭호는 고구려왕이 독점하고 백제왕을 「주(主)」, 신라왕을 「매금(寐錦)」이라고 일컬은 것은 고구려를 중화로, 주변국을 이적으로 구분했음을 말해 준다. 하지만 이것은 중국에도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중국과 다른 고구려의 천하 안에서만 가능한 것이었다.

 

천하를 형성한 추모왕, 천하를 완성한 호태성왕

호태성왕비에 따르면, 고구려의 천하는 시조 추모왕(鄒牟王) 때부터 형성되었다. 「백제와 신라는 예부터 속민으로 고구려에 조공해 왔다.」, 「(예부터 속민인) 숙신의 땅을 순시하였다.」, 「동부여는 추모왕의 속민이었다.」는 비문의 기록은, 고구려를 중심으로 하는 천하가 호태성왕(광개토왕) 때가 아니라 시조 추모왕 때 형성되었음을 말해 준다. 속민(屬民)이란 예부터 속해 온 신민을 말한다. 추모왕 시대의 천하는 고구려를 중심으로 「사방(四方)」의 개념에 맞추어 백제, 신라, 숙신, 동부여의 「사국(四國)」을 포함하였고, 고구려가 조공을 받는 것도 백제, 신라, 숙신, 동부여에 한정되었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고구려의 천하관은 점차 훼손되었다. 중국 세력의 영향으로 북쪽의 동부여가 천하를 이탈해 자립하고, 복속되지 않은 숙신의 일부 부락이 여전히 저항하였으며, 남쪽에는 왜(倭)가 출현하면서 백제와 신라도 천하를 이탈했기 때문이다. 특히 「왜가 백제와 신라를 신민(臣民)으로 삼았다.」는 비문의 기록처럼, 고구려는 북쪽보다 남쪽에 시선을 집중했다. 고구려의 천하는 추모왕 때부터 형성되었는데, 왜는 훨씬 뒤인 신묘년에야 출현했다. 형성된 천하에 새로이 왜가 나타난 것은 천하의 질서를 어지럽히는 원인이 되었고, 결국 왜가 천하에 침범함으로써 백제와 신라가 이탈하였다.

천하를 주재하는 고구려로서는 이를 묵과할 수 없었다. 추모왕의 자손인 호태성왕(好太聖王)은 이런 시대상이 필연적으로 낳을 수밖에 없는 구세주였다. 호태성왕은 흐트러진 천하관을 정립하고, 추모왕 시절의 천하를 되찾기 위해 침범자 왜를 밖으로 물리치고 백제, 신라, 숙신, 동부여를 통일했다. 그가 전개한 통일 전쟁에는 네 나라가 고구려의 속민이라는 명분이 개입했다. 그는 이 과정에서 영토도 크게 확장하여 사후에 「광개토」라는 시호를 받았다. 그의 전쟁은 추모왕 시절의 천하를 원상 복구하는 것이 큰 목적이고 영토 확장은 그에 부속된 작은 목적이었으며, 단순히 구복을 채우기 위한 침략이 아니라 민족사의 발전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통일 의식의 구현이라고 하겠다.

호태성왕은 화이 사상으로 주변국을 대하였는데, 백제, 신라, 숙신, 동부여, 왜 등을 똑같이 이적(오랑캐)으로 구분했지만, 나머지 네 나라와 달리 왜는 천하에 포섭되는 대상이 아니라 축출의 대상이었다. 왜는 처음부터 천하의 구성원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백제, 신라, 숙신, 동부여는 원래부터 천하의 구성원이었으므로, 이적으로 구분되면서도 고구려의 은혜를 받아 포섭되었다. 하지만 왜는 이적으로는 구분되어도 포섭되지는 않았다. 이런 논리에 따라 고구려는 왜의 출현에 민감히 반응하며, 조공을 받는 일도 없이, 왜를 천하 밖으로 쫓아낼 뿐이었다. 왜는 천하의 밖에 존재하는 세력이었다.

고구려는 신민에 대해서도 일정한 논리를 적용했다. 질서에 충실한 신민은 군사적으로 안전을 수호하고, 질서를 어긴 신민은 군사적으로 응징하여 다시 포섭한다는 것이다. 신라는 전자에 해당하고, 백제는 후자에 해당했다. 신라는 고구려의 질서에 충실하였으므로, 왜의 침략을 받았을 때에도 고구려의 구원을 받았다. 반면 고구려의 천하관을 인정하지 않았던 백제는 질서를 어기고 바깥 세력인 왜와 내통했다. 그래서 고구려는 왜를 내쫓아 천하를 수호하고, 백제를 응징해 다시 포섭했다.

고구려는 이러한 천하관에 따라 동북아시아 내 주변국과의 관계를 조공으로 규정하고, 하늘의 자손인 고구려왕은 이런 국제 질서를 담당하는 주체로 자임했다. 곧 현실적인 힘이 미치는 한 천하의 주인은 자신이라고 생각하는 당당한 세계관의 표현이 호태성왕비와 모두루 묘지에 나타난 고구려의 천하관이다.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역사칼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2024년 종교문화여행 치유순례 대한뉴스 2024-11-06 1,775
공지 2024세계개천문화대축제(10/3~10/9) 뭉개구름 2024-09-13 4,836
60 [k- route를 가다] “고인돌 루트(dolmen route)”의 실체 11(수메르 이스라엘편1) 역사광복 2020-05-16 4,000
59 [k- route를 가다] “고인돌 루트(dolmen Route)”의 실체 10(러시아편) 역사광복 2020-05-16 3,124
58 [k- route를 가다] “고인돌 루트(dolmen Route)”의 실체 9(인더스 인도문명편) 역사광복 2020-05-16 3,286
57 [k- route를 가다] “고인돌 루트(dolmen Route)”의 실체 8(동남아시아 호주편) 역사광복 2020-05-16 3,416
56 [k- route를 가다] “고인돌 루트(dolmen Route)”의 실체 7(일본편 2) 역사광복 2020-05-16 4,272
55 박우순 교수 "지금에 와서야 환단고기를 알게 된 것이 부끄럽다" 바른역사 2020-04-20 2,835
54 [k- route를 가다] “고인돌 루트(dolmen Route)”의 실체 6 바른역사 2020-04-20 2,934
53 [ k- route를 가다] “고인돌 루트(dolmen Route)”의 실체 5 바른역사 2020-04-20 2,759
52 [k- route를 가다] “고인돌 루트(dolmen Route)”의 실체 4 바른역사 2020-04-20 2,828
51 [k- route를 가다] "고인돌 루트(dolmen Route)”의 실체 3 바른역사 2020-04-20 3,023
50 HOME 오피니언 칼럼유철 박사의 『환단고기』 위서론 논박論駁 마지막회 바른역사 2020-04-20 2,185
49 [팩트체크] 국보 황금 허리띠 고리가 알려 주는 사실북방 바른역사 2020-04-20 2,909
48 [k- route를 가다] 고인돌 루트(dolmen Route)”의 실체 2 바른역사 2020-04-12 2,564
47 '치우천왕'은 배달민족의 조상 바른역사 2020-04-12 2,606
46 [K-route를 가다] “고인돌 루트(dolmen Route)”의 실체 1 바른역사 2020-04-12 2,288
EnglishFrenchGermanItalianJapaneseKoreanPortugueseRussianSpanishJava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