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9 - 월간 대한사랑_10월
P. 79
2024. 10
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이다. 그 다.
러나 온 국민들로부터 경축 받아야 할 그나마 다행인 것은 1000여 명의 청
국경일 중 유일하게 홀대받는 국경일이 년들을 대상으로 '개천절 국경일 인식
개천절인 것이다. 왜냐하면 개천절 공 조사’를 하였는데, “개천절에 대통령이
식 행사에 대통령이 불참한 지는 김영 행사에 참석하여 축사를 해야 하는가?”
삼 정부 들어와서 어느덧 30여 년이나 라는 질문에 대해 67%가 ‘그렇다’고 답
흘렀다. 했으며, 개천절을 기념하는 것이 한국
국가수반인 대통령이 참석하지 않으 인으로서 자긍심 고취에 도움이 되느냐
니 당연히 3부 요인인 국회의장과 대법 는 질문에 대해 78%가 ‘그렇다’는 긍정
원장도 참석하지 않는다. 그나마 국무 적인 답변을 하였다니 나라의 장래가
총리가 대독(代讀)하던 대통령 축사도 이 밝아 보였다.
명박 정부 들어와서는 국무총리 축사 그런데 문제는 개천절 행사 자체가
로 격하되었다. 이런 실정이니 이제 개 아니라, 이와 관련한 단군과 홍익인간
천절은 대통령이 참석하는 나라축하[國 등에 대한 경시 풍조가 우리 사회에 만
慶] 행사가 아니라, 행정부의 수장인 국 연해 있다는 것이다. 그 일례로 몇 년
무총리가 참석하는 단순한 ‘행정부’행 전 <한국갤럽>에서 실시한 ‘단군 실존
사로 격하된 것이다. 오죽했으면 2030 여부 등에 대한 설문조사’(2016년 9월, 성
세대 청년들조차 “대통령님, 개천절 경 인 남여 1,004명 대상)를 보면, 단군에 대해
축식에 참석해 주세요!”라는 플래카드 서 ‘실존 인물(37%)’과 ‘가상 인물(47%)’
를 들었겠는가? 그리고 의견 유보(16%)로 나타났다. 이
<미래경영청년네트워크>라는 단체 결과는 이전(1994년) 조사 때보다 '실존
에서 “개천절, 대한민국의 생일을 축하 인물(49%)’, ‘가상 인물(39%)’의 비율이
하는 날”이라고 대시민 홍보를 하는 것 낮아져 국조(國祖)에 대한 인식도가 떨
을 본 적이 있었다. 아울러 윤석열 대통 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단군을 모
령에게 개천절 경축식 참석을 요청하며 시는 것에 대해서도 '당연하다(56%)’,
“5대 국경일 중 개천절 경축식에만 대 ‘불필요한 일(29%)’이라고 답하였다. 이
통령 참석하지 않는 것이 이해되지 않 항목 또한 1994년 조사 때 ‘당연하다
는다. 온 국민이 나라의 뿌리 정신을 알 (61%)’, ‘불필요한 일(23%)’로 집계되었던
고 자랑스럽게 그 가치를 새기는 날이 것과 비교해 보면, 그 인식도가 떨어졌
기에 대통령께 참석을 요청했다.”고 한 음을 알 수가 있다.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