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8 - 국제학술문화제-동북공정 분과
P. 168

동북공정 분과


                 도 급속도로 발전되었다. 지금은 더욱더 발전되고 세부적으로 나뉘어 미국수학회(American

                 Mathematical Society)가 수학의 중분류를 97개로 나누고 있고 세부 분류는 1000개가 훨씬 넘
                 었다. 이렇게 발전되어가고 있는 이론과 논리들이 앞으로 더욱더 많은 분야와의 융합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확신한다.



                 IX. 결론




                   1) 세종대왕 때 육진이 있었던 두만강은 현재의 북한 두만강이 아니고 수분하(중국 내 옛 두만강
                 명)+레카라즈돌나야(Recka Razdolnaya) 강(러시아 내 옛 두만강 명)이다. 이 강변에 육진이 있었고

                 황자파, 안원, 의전 등 18개의 역참(驛站; 보(堡)와 함께 있음)이 있었다. 일제는 현 두만강(옛 石乙
                 水+훈춘강) 유역에 육진의 부위의 위치를 설정해 놓고 18개의 역참 중 아오지, 훈융, 서수라 3개의
                 역참의 위치를 설정하고 나머지 15개의 역참 위치는 정하지 않았다.

                   ⌬옛 두만강 유역에 있었던 역참과 지류 중 현 두만강 유역에 없는 것: 무이, 아산, 건원, 안원, 황자파,

                 의전, 유원, 유달, 종관, 방환, 고령, 볼하, 풍산, 양영, 마전참, 오롱천, 농보천, 후춘강, 회개천, 솔하천,
                 삼한천, 천천, 분계강, 팔하천, 성천, 볼하, 박하천(허수라천), 서북천, 대홍단수, 소홍단수
                   조선시대의 고지도의 압록강에는 의주, 삭주, 창성, 벽동, 이산(초산), 위원, 강계, 삼수, 갑산 9개의

                 부(府)와 군(郡) 만이 그려져 있다. 우시군은 조선 시대에 압록강 유역에 있는 부(府)나 군(郡)의 명칭

                 이 아니다.


                   2) 조선시대의 고지도의 압록강에 있는 의주, 삭주, 창성, 벽동의 위치는 불변이다.




                   3) 이산(초산) 고지도는 우시군 정거리 지역을 그린 위상도이다.


                   4) 이산(초산) 고지도는 우시군 정거리 지역을 그린 위상도이다.




                   5)사군은 강계부 안에 있었고 강계부는 남북의 길이가 300리가 넘는 넓은 지역이었는데 강계부
                 를 현 한반도 안으로 축소하여 설정하고 사군의 위치 중 자성 만 하나 정하고 나머지 3개의 군은
                 정하지 안했다. 후주의 위치도 정하지 않았다.

                   강계부(해동지도) 고지도에는 큰 강으로 압록강과 독로강이 그려져 있다. 강계부의 압록강은 현

                 혼강이고 독로강은 현 압록강이다.
                   강계부 고지도에 자성, 우예, 여연, 무창이 있다. 고지도 자성에 대응하는 지역은 마제촌(馬蹄村)
                 이다. 마제촌은 말발굽 동네라는 뜻이다. 고지도 우예에 대응하는 지역은 후강연(后江沿)이다. 후강

                 연은 임금의 강이 흘러가는 곳이라는 뜻으로 보인다. 여연에 대응하는 지역은 만만천여유도가촌



                 168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