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7 - 국제학술문화제-동북공정 분과
P. 167

세종대왕의 사군육진과 삼수부 · 갑산부   최규흥



                   우리는 여기서 위상수학의 가장 쉬운 개념 중의 하나인 종수 개념을 사용하였다. 의주 고지도의

                 압록강의 섬의 개수와 실제 북한 의주 압록강의 섬의 개수를 비교하여 섬을 뺀 압록강 강물로 이루
                 어진 두 평면영역이 동형인가를 판단한다. 강의 지류들의 일대일 대응으로 강계부 고지도가 현 강

                 계 지역인지도 확인한다.



                   2) 수학과의 융합 영역의 확장성
                   수학은 18세기 라이프니츠와 뉴우톤이 미분을 발견하면서 미적분이 물리학에 직접적으로 활용

                 되어 물리학을 발전시키고, 물리학이 발전하면서 미적분을 위시한 해석학을 더욱 발전시키는 역
                 할을 했다. 수학이 발전하면서 물리, 화학, 생물 등의 자연과학분야와 기계공학, 전자공학, 토목,

                 건축공학 등에 더욱 더 많이 활용되어지고 있고, 경제학의 수리경제에는 고난도 수학 이론들이 응
                 용되고 있다. 수학은 그 밖에도 여러 학문들을 발전시키는 보조적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수학의 활용으로 발전된 학문이 그 학문이 발전하면서 수학의 새로운 아이디어와
                 이론을 창출하게 하는 동기를 제공하는 경우도 많다. 요즘에는 공학 연구가 수학을 발전시키고,

                 의학 연구가 수학 연구를 발전시키는 사례들을 주변에서 종종 볼 수가 있다. 수학의 다른 분야에
                 활용되는 수학의 지식은 고난도 지식이나 이론이 활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체적으로는 수학에

                 서 초보적인 이론이나 지식이 아주 중요하게 활용되어 중요한 결과를 얻을 때가 수없이 많다.
                   연구자는 수학을 활용해서 우리 고대 역사 지도를 분석하고 규명하는데 수학이 활용되는 경우

                 를 본 적이 없다. 그런 일을 연구자가 할 거라고 생각지도 않다가 우연히 묘청의 고지도를 발견하고
                 지도를 열심히 들여다보다가 묘청의 서경 평양성 고지도가 북한 평양성이 아니라는 걸 쉽게 알아

                 볼 수 있었다. 이것을 위상수학적으로 쉽게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는 걸 육감적으로 알았다. 하지
                 만 그 지식은 위상 수학에서 아주 기초적인 지식이었다.

                   일제는 19세기 초 수학을 공부하기 위하여 독일에 유학생을 보냈다. 19세기 말에 일본의 기하학
                 은 가히 세계 수준이라 할 정도일 거다. 세계 최고의 일본 기하학들이 조선의 두만강과 압록강 그리

                 고 사군 육진의 위치를 조선의 고지도와 대역적 위상이 잘 맞게 위치를 설정한 것이다. 지금의 위치
                 설정은 가히 최고 기하학자들의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앞으로도 수학의 이론이나 논리로 고지도의 위치를 찾아내는 작업이 계속 있을 것이라고 생각
                 하고 또 그렇게 희망한다. 더 나아가 역사 교육이 단순 암기식 교육에서 벗어나 고대 지도나 지명들

                 이 나열되었을 때 이들 지도를 분석하는 훈련을 시키고 잘 규명되지 않은 역사적인 지명들이 나열
                 되었을 때 이들을 평면 위상으로 그리게 하는 훈련을 시키는 것도 창조와 추리 능력을 배양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믿는다.
                   수학은 그리스의 수학자 유클리드(Euclid, B.C. 330~275)가 “기하학 원론”으로 기하의 기초

                 가 완성된 이후 오랜 동안 발전과 퇴보를 반복하면서 완만하게 발전해오다 18세기 라이프니츠와
                 뉴우톤이 미분을 발견하면서 해석학이 급속도로 발전되고 뒤따라 대수학, 미분기하학, 위상수학




                                                                                                    167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