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9 - 월간 대한사랑_10월
P. 69

5부 사람마다

                            왕부터 노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계
                            층의 사람들이 한글을 사용했다. 그중
                                                                                편지3. 정조의 나이 8세 이전 추정
                            에서도 정조가 큰외숙모에게 쓴 한글
                                                                    숙모님 앞 서릿바람에 기후 평안하신지 문안 알
                            편지가 흥미롭다.                               고자 합니다. (숙모님을) 본 지 오래되어 섭섭하
                                                                    고 그리웠는데 어제 편지 보니 든든하고 반갑습
                                                                    니다. 할아버님께서도 평안하시다 하니 기쁘옵
                                                                    니다. 원손
                            6부 날로 씀에

                            한글은 언제부터 우리의 공식 글자가 되었을까? 한글은 창제된 지 450여

                            년이 지난 후인 1894년 고종의 공식문서 작성에 대한 칙령으로 비로소 공
                            식적인 나라의 글이 됐다. 훈민정음(訓民正音) – 언문(諺文) – 국문(國文) – 조선
                            문(朝鮮文) – 한글에 이르기까지 한글의 여러 이름을 살펴보며 우리글의 역

                            사를 알아본다.



                            7부 편안케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1945년 광복 이후로도 한글을 보다 편하고 경제적으로 쓰기 위해 모아쓰

                            기/풀어쓰기, 가로쓰기/세로쓰기 등의 문제에 대한 논의가 벌어졌고 다양
                            하고 아름다운 형태한글 서체들이 개발됐다.





























                                                                                              69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