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1 - 국제학술문화제-동북공정 분과
P. 81
강계부 고지도 분석과 세종대왕의 사군 위치 연구 정택선
통화시에 두도구, 2도구, 2도강구, 3도강구, 4도강구가 있다. 고려구도 있다. 여기서 頭道泃의
‘泃’는 조선 시대 頭道構의 ‘構’와 다르다. 하지만 강계부 고지도에서 28번 지류부터 39번 지류사
이를 13도구로 나누었던 지명을 연상하게 한다.
⌬여기서 頭道泃에는 1909년 간도 협약 당시 일본 영사부 지부가 있었던 곳이다.
위 그림에 있는 鴨圓鎭은 압록강변에 있는 군사 지역 마을이라는 의미로 보이고 이지역이 군사
지역이라면 후주진 지역에 위상적으로 대응되는 지역이다(후주강과 라신천 사이에 있다(참고:[그
림 24, 25, 26]).
현재 통화시 지역과 백산시 지역에 두도구, 2도구, 3도구, ..., 35도구등 35개의 도구 지명들이
관찰된다.
강계부 고지도(해동지도) 중간 부분 자성, 만포진, 오국성 근방을 확대하여 살펴보자.
[그림 22] 강계부 고지도(해동지도) 중간 부분: 세종대왕의 사군 자성이 있다. 만포진, 오국성, 상토진,
종포진, 추파진이 있다.
위 강계부 고지도의 중간 부분에 호예천, 우예, 자성강, 자성, 만포진, 오국성, 상토진, 종포진,
추파진, 마마해보 등이 있다.
여기서 오국성은 하얼빈 지역에도 있다. 만포진은 부위에서 240리라 기록되어 있다. 상토진은
100리, 추파진은 30리라 기록되었다.
위 강계부 고지도의 중간 부분에 대응하는 지역을 구글 지도에서 찾으면 다음과 같다
81